삶의 지혜

지금을 살자

코로나19와 기후위기를 겪으며 인간중심적인 사고로 굴러가는 세계에 회의감을 가졌다. 이러한 회의감은 ‘기후우울증’이라 불리는 신종 기분 장애를 유발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이런 이유로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자신만의 작은 정원을 일구며 살아가기도 한다. 종말을 떠올리는 기후위기의 세계에서 스피노자의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의 참뜻을 헤아려본다. 지금 여기, 지금 이곳에서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Read more

사회

신냉전시대, 불자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2022년 봄, 코로나가 종식되어 간다. 빠르게 일상으로 돌아오는 사람들 앞에 새로운 위기가 등장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대표되는 '신냉전'이다. 신냉전은 독주하고 있는 미국의 질주를 막으려는 러시아,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들의 반격이다. 과거 냉전시대는 총칼로 싸웠지만 현대 신냉전의 싸움은 해당국이 아닌 제3국에서 펼쳐진다. 신냉전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자유로울 수 없다. 개개인의 삶이 세계와 연결되어 있는 현대, 또한 앞으로 펼쳐질 지난한 경제상황을 앞두고 불자가 가져야 하는 마음가짐은 청빈과 소욕지족이다. 덜 입고 덜 먹고 덜 쓰는 청빈의 삶이 체화되어야 앞으로 다가올 신냉전 상황에서 잘 적응할 수 있다.
Read more

사회

병든 지구를 살리는 길

2020년 8월, 코로나19 재유행 상황에서 생각하는 '병든 지구를 살리는 길'. 자연은 기후위기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류를 총공격하는 상황에 인류는 제각각 분열과 갈등으로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 전지구적 위기 상황에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해결책이 있다.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그것은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다. 인간만이 자성할 수 있는 존재이다. 부처님이 전륜성왕의 길을 버리고 수행자의 길로 나선 것도 같은 이유이다. 현재의 인류도 오랫동안 지구와 공존하기 위해, 살아남기 위해 본능을 다스리고 무명이라는 허상을 깨쳐야 한다. 병든 지구를 살리는 길은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다듬어나가는 데에 있다.
Read more

불교교리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코로나19 교회 집단 감염 사건으로 보는 광신과 본능. 2020년 여름, 교회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가 일어나 경각심을 일으켰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때 이해할 수 없는 '맹신'의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교회는 인간의 본능에 내재되어 있는 '군집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놀거리가 있고 즐거움이 있고, 누군가와 함께 있고 싶다는 군집욕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에 강한 믿음의 대상으로 발전하곤 한다. 그러나 부처님은 욕구와 본능을 다스릴 수 있다고 분명하게 말씀하셨고, 사람들과 어울려 있다보면 불필요한 번뇌가 생기므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리고 말씀하셨다. 자비심으로 본능을 다스릴 때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부처님이라면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인간은 복으로 산다"고 말씀하실 것 같다. 선업의 과보로써 받는 복과 덕으로 인생을 살아가자. 올바른 부처님의 제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
Read more

사회

코로나시대 뉴스 보기

2020년 7월, 뉴스 헤드라인의 대부분은 코로나19와 기후위기로 채워진다. 불안해서 뉴스를 보고 뉴스를 보고 더 불안해지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 뉴스에서 한 발짝 떨어져 사회를 본다. 코로나19로 대표되는 자연과의 싸움. 그 최전선에는 근거 없는 가짜뉴스와 미신에 빠져 방역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가 하면 후방에서는 사회 내부에 쌓였던 갈등요소가 폭발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목도한다. 모두 불안함 때문이다. 인본주의와 합리적 이성으로 무장한 현대인이 자연을 정복한 것 같지만 아직도 우리 안에는 낯설고 모르는 것을 두려워하는 신화적 세계관이 내재해있다. 위기상황에서 신화적 세계관과 인본주의적 세계관이 엎치락뒤치락 사람들의 마음을 불안으로 들끓게 한다. 해답은 2500년 전 부처님이 말씀하신 연기적 세계관에 있다. 개인은 스스로를 성찰하는 마음 단련을 해야 하고, 국가는 개인들이 그런 노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교육과 문화를 통해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Read more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