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답사

길따라절따라 일본 답사기

2023년 3월 다녀온 길따라절따라 일본 답사기. 길따라절따라 일본 교토 탐방을 통해 11개 사찰을 돌아보며 일본불교와 우리불교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나라 지역의 사찰들은 삼국시대에 일본으로 건너간 도래인들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백제, 신라시대 사찰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 불교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밀교적 측면이 두드러지는데, 우리나라와는 달리 밀교에 등장하는 여러 불보살이나 화려한 장식들이 불상 배치에 드러나고 있다. 선종의 경우, 초기에는 참선을 하고 대중생활을 하는 전통이 유지되었지만 이후 사무라이 정신과 맞아 떨어지면서 기교적인 방식만 활성화되었고, 이는 다시 일본의 토속신앙인 신도와 결합하는 형태를 보인다. 불교의 한 부분만을 떼어 파편화하고 도구화하다 보면 불교의 중심인 '계정혜 삼학'과는 무관한 것이 되고 만다. 우리들의 신행이 어떠해야 할지, 현재 일본 불교의 모습을 보며 고민한다.
Read more

문화답사

[길따라절따라] 서산 마애여래삼존불을 친견하다

길따라절따라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답사기. 백제시대에 조성된 서산 마애여래삼존상은 당시 백성들에게 소원을 이뤄주는 신앙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실제 마애부처님이 취하고 있는 수인(手印)은 중생들의 두려움을 없애는 시무외인과 원하는 바를 들어주는 여원인이다. 따지고 보면 부처님은 신(神)이 아니라 깨달음을 증득한 수행자일 뿐인데 사람들은 왜 소원을 빌었을까? 고대 인도사회의 푸자(공양) 문화가 변화한 것으로, 수행자에게 공양을 올리고 공양을 올린 공덕으로 큰 복을 받는다는 통념이 이어져온 때문이다. 불교는 수행을 하는 수행자와 수행자를 의지하고 공양하는 신도라는 두 개의 축이 상호 교류함으로써 유지, 발전된다. 불교의 수행과 정신문화를 후대에 이어나가는 것도 이 두 개의 축임을 잊지 말고 신행과 수행에 임하자.
Read more

문화답사

[길따라 절따라] 전쟁과 평화

'길따라 절따라' 답사 프로그램을 통해 진주성에 다녀왔다. 진주성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과 첨예한 싸움을 벌인 치열한 전투의 땅이자, 7만여 명의 민간인이 학살 당한 아픔의 땅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전쟁을 아주 먼 옛날의 것으로 생각하지만, 임진왜란의 양상은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또렷하게 반복되고 있다. 인류는 전쟁을 통해 발전해왔다고 하지만, 전쟁은 어떤 이유가 있다 하더라도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다른 나라와의 전쟁만이 전쟁인가? 아니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 속에서, 한국전쟁 혹은 80년 광주의 경험을 통해서 전쟁의 다른 얼굴을 본다. 지나온 역사는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연장이며, 우리의 삶이 사람이 사람에게 가하는 폭력으로 점철되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더욱 가슴에 새겨야 할 것이다.
Read more

문화답사

[길따라절따라] 불국토 경주를 가다

경주 남산은 고대 신라인들의 불교에 대한 간절하고 깊은 신심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신라인들에게 남산은 그 자체로 하나의 불국토였고 부처님 그자체였다. 중생에게는 무언가 의지할 대상이 필요하다. 불상과 탑과 같은 조형물은 우리 중생들에게 의지처가 되어 준다. 우리가 불상 앞에서 기도하고 깨달음을 얻겠다는 마음을 가지는 순간에 우리의 마음은 보살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부처님을 친견할 때의 마음을 믿고 의지처로 삼아 일상생활에서의 온갖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수행하는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Read more

문화답사

복은 비는 것인가, 짓는 것인가? (미얀마 성지순례)

미얀마의 불상들은 뚱뚱하다. 미얀마 불자들은 손이 닿는 곳이면 불상의 어디든 금박을 붙이는 공양을 올리기 때문에 해가 갈수록 부처님의 금박옷이 두꺼워진다. 금박공양을 올리며 무언가 간절하게 기도하고 복을 비는 것은 아니다. 이방인의 눈으로 볼 때 그들은 그저 무심하게 금박을 부처님에게 붙일 뿐이다. 금박공양을 올리는 것은 스스로의 공덕을 쌓기 위함이지, 개인의 복을 빌기 위함이 아니다. 간절한 신앙도 좋지만 부처님의 가르침, 특히 오계를 일상에서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는길이다.
Read more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