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윤리

생활불교의 길: 지계

구산스님의 '생활불교의 길' 두 번째 날은 지계의 날이다. 지계는 올바름의 날이다. 불교에서의 올바름은 부처님의 진리인 법을 바르게 하자는 의미이다. 법의 기준이 바르게 서있으면 선악의 판단, 혹은 규범이 제대로 갖춰지게 된다. 지계는 법에 근거하여 양심에 거리낌 없는 것이다. 양심의 기준이며 지침이 되는 것이 오계이다. 오계를 따르면 크고작은 선택의 상황에서 편하게 삶을 건너갈 수 있다. 양심을 지키면 손해보는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양심에 따라 사는 것이 더 큰 복과 덕을 쌓을 수 있는 이익의 길이다.
Read more

불교윤리

생활불교의 길: 보시

법보시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다. 마음을 보시한다는 것은 '나'라고 하는 놈이 없는 것이라는 아공의 도리를 깨쳐야 가능하다. 재보시는 물건을 아낌없이 주되, 내가 보시를 했다는 행각이나 타인이 나의 보시를 받았다는 생각 없이 보시하는 것이다. 내가 주었다는 상을 내면 번뇌가 따르는 복이며, 상에 얽매이지 않으면 번뇌가 없는 참된 복이다. 보시는 또한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며 없애주는 것이다. 때문에 번뇌를 없애고자 하는 우리의 모든 행은 그 자체로써 보시이며, 모든 보시는 본질적으로 번뇌를 없애는 행위이다.
Read more

불교윤리

오계(五戒) : 불망어(不妄語)

아함경에 기록된 부처님의 말씀을 통, 해 이해하는 오계, 불망어. "라훌라야, 고의로 거짓말하는 것을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자들의 출가수행이란 이와 같이 조금 남아 하찮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부처님은 고의로 거짓말하는 것과, 고의로 거짓말을 하고 부끄러워하지 않는 것과, 특히 부끄러워하지 않는 출가수행자를 경책했다. 출가수행자는 언제나 철저하게 계를 지켜야 하며, 불망어죄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농담으로라도 거짓을 말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재가자의 경우에는 엄격하게 불망어계를 지키기 어려운 현실이므로, 최소한 법회날이나 포살일만이라도 제대로 계를 지키고자 하는 스스로의 의지가 필요하다.
Read more

불교윤리

오계(五戒) : 불투도(不偸盜)

오계의 두 번째 항목, '불투도不偸盜'를 이해할 때 단순히 도둑질 하지 말라는 수준에서 그쳐서는 안 된다. 주지 않은 남의 것을 가지지 말라는 말에는 '남의 것'과 '내 것'이라는 분별이 전제되는데 무언가를 소유한다는 것은 그저 생각에 불과하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서로 연기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어떤 한 가지 것에도 모든 사람의 행위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니 단순히 남의 것이기에 탐내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이것에 기울인 노력이 얼마만큼인지를 생각하고 그것에 기울인 타인의 공을 부정하지 말라는 뜻이 담겨있다. 불투도를 성숙하게 이해하면 자연스럽게 무주상보시가 이루어진다. 무주상부시는 연기의 도리를 아는 사람의 행동이다.
Read more

불교윤리

오계(五戒) 불살생(不殺生) 2  

오계 중 첫 번째 계율인 '불살생'과 관련한 여러 사례와 생각할 거리. 불교에서는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사람에 대하여 죽음을 부추기거나 말로써 찬양하는 경우, 선동하는 경우는 불살생 계율에 준하여 엄격하게 금기한다. 그러나 중한 병에 걸려 자신과 주변인 모두가 고통받는 상황에서 스스로 곡기를 끊는 경우, 그리고 깊은 삼매에 들어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그대로 열반에 이르는 경우에는 그것을 굳이 막지 않아도 된다. 불자의 육식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부처님께서는 세 가지 면에서 순수한 고기를 섭취하는 것은 금하지 않았다. 자신을 위해 살생됨을 보지 않고, 그러한 사실을 듣지 않고, 그러했으리라고 의심할만한 정황이 전혀 없는 경우다. 수행자도 공양물을 선호의 대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대승불교적 견지에서 생활하되, 근본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한 지혜롭게 대처해야 한다.
Read more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