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다스리기

불안은 어디에서 오는가?

사람들은 가족과 함께 무언가를 할 때 행복해한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우리 가족이 행복해야 한다'는 강박과 애착이 생긴다. 애착이 굳어지면 소유욕이 된다. 사랑을 이유로 소유 심리가 생겨난다. 불안한 마음은 소유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생겨난다. '내 것' 이라는 소유는 증표가 없다. 단지 내가 그렇게 생각할 뿐이다. 가족에게만 그러한가? 다른 누구도 앗아갈 수 없는 단 하나의 소유물이 있다. 바로 자기 자신이다. 자기 사진에 대한 소유욕 때문에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한다. 두려움에게서 불안이 생겨난다. 나에 대한 애착, 생존에 대한 애착을 버릴 때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Read more

사회

공동체주의, 개인주의

공동체주의는 좋은 것인가? 현대사회에서 공동체주의는 회복해야 할 정신적인 가치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러나 일견 공동체는 '폐쇄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집단주의로 변질될 소지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 불교의 자비는 뜨거운 사랑이라기보다 차가운 배려에 가깝다. 나라는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이 중요한 만큼 타인 역시 한 사람의 주체적 개인으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무의식적으로 주창하는 공동체정신이 개인의 주체성을 말살시키지는 않는지, 개개인의 경험에 빗대어 깊이 생각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Read more

불교교리

자비에 대하여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증심사 목요봉사팀은 매주 목요일 자비를 행하고 있다. 자비심이란 무엇일까? 자비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사랑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서양 학자들은 사랑을 에로스, 필리아, 노도스, 프라그마, 아가페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불교의 자비도 사랑의 하나이다. 이처럼 사랑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연애감정'만을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사랑을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살아있는 것은 모두 행복하라"고 하는 부처님의 <자비경>을 구절구절 살펴보며 불교의 사랑과 자비를 다시금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Read more

법구경

원망하는 마음

미운 마음이 커지면 원망이 되고, 원망이 커지면 원한이 되고, 원한이 사무치면 저주를 품는다. 원망하는 마음은 다른 사람을 내 뜻대로 하고 싶다는 마음 때문에 생겨난다. 내가 힘든 원인이 내가 아닌 타인에게 있다는 전제로 원망은 자라난다. 그러나 세상에서 제일 힘든 일은 남을 내 마음대로 하는 것이다. 남의 인생에 간섭하여 이 길로 가라, 저 길로 가라고 통제하는 것은 부처님도 못(안) 하는 일이다. <뚱보 비구의 일화>와 <뚱보 비구의 전생담>에 비추어 원망하는 마음의 근원을 찾아본다.
Read more

마음다스리기

그랬구나

미움과 증오로 휩싸인 번뇌의 불꽃을 끄는 주문은 "그랬구나~"이다. 내가 옳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프레임은 다른 관점 혹은 입장에 의해 다르게 짜여진다. 일어난 현상과 내 마음을 또렷하게 관찰해야만 나의 입장과 관점에 휘둘리지 않고 상대방의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다. 있는 그대로를 보면 궁극적으로 갈등의 원인을 만들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이 지혜로운 이가 미움을 대하는 모습이다. "다른 사람이 분노하는 것을 알고 주의 깊게 마음을 고요히 하는 자는 자신과 남 그 둘 다를 위하는 것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