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

차라리 혼자가 나아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가족 형태는 1인 가구이다. 학생, 취업한 청년, 주말부부 등 다양한 형태의 1인 가구가 존재하지만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것은 55세 이상의 '황혼 이혼' 가구이다. 오랜 세월 살아온 부부가 결별하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 왜 나의 배우자가 남보다 못한 사람이 되었는가? 그것은 그 사람에게 덧칠한 나의 감정 때문이다. 우리는 가까운 사람일수록 그에게 나의 감정을 덧칠한다. 내 감정으로 덧칠하기 전 원래 그의 모습은 어디로 갔을까? 사라졌을까? 오랫동안 덧칠한 감정을 걷어내고 볼 때 비로소 대화가 시작될 것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제사가 궁금해! 귀신은 있다? 없다?

백중은 영가님들을 위해 천도재를 지내는 불교의 명절이다. 천도재를 지내는 것은 돌아가신 영가님이 실재한다고 전제하는 바, 영혼의 유무와 귀신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있다고 믿자니 찝찝하고 없다고 치부하자니 무언가 미덥지 않은 '귀신'의 존재! 귀신은 있다, 없다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서 만들어낸 귀신이라는 상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 모든 것은 일체유심조. 마음이 만들어내고 마음이 상을 키운다.
Read more

사회

관용

2019년 8월, 일본 '표현의 부자유전' 평화의 소녀상 전시 중단 헤프닝과 영화 '나랏말싸미' 역사왜곡 논란으로 돌아보는 우리 사회의 관용 정신. 관용은 존중이다. 나와 당신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의견을 나누고 이야기의 합리성을 논리적으로 생각해보아야 한다. 일본 우익들의 평화의 소녀상 전시 중단 사태와 일부 타종교인들의 '나랏말싸미' 배급 중단 요청 등은 상대에 대한 존중이 없기에 발생한 일이며, 폭력적이고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데에 일조한다. 관용의 정신이 바로서지 않는 사회에서 우리 개인은 어떻게 해야 할까?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이 다른 타인과 토론을 통해 자기 주장을 정당하게 펼치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그것이 비록 해본적 없엇 낯설고, 마음 편한 일이 아니라 하더라도.
Read more

사회

일본의 경제 침탈, 그 본질과 대응

2019년 8월, 일본의 아베 정권은 한국과의 경제적 협업을 반려하겠다는 의미의 '화이트 리스트 제외'를 공표했다. 문재인 당시 대통령은 "다시는 지지 않겠다"는 각오로 일본의 경제 도발에 대응하고 나섰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고도 소련을 견제해야만 하는 미국의 묵인 아래 일본의 국가주의, 제국주의는 청산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전쟁을 일으킨 각료들이 여전히 일본의 정치를 주름잡고 있다. 아시아를 제멋대로 쥐락펴락할 수 있는 과거의 제국주의에 대한 향수에 젖어 있는 일본 극우세력의 득세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또 국민은 어떤 자세를 견지해야 하는가?
Read more

삶의 지혜

희망에 대하여

희망, 소망, 바람, 소원 같은 말은 모두 '무언가를 바란다'는 뜻이다. 절에 기도를 하러 오는 사람들도 갖가지 희망을 진고 있다. 희망은 삶의 필수 요건이지만, 희망이 삶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를 아는 것 역시 중요한 일이다. 흔히 '내 뜻대로 되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고 하지만, 그것은 내가 원하는 바를 또렷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들어주는 의존적인 소원을 내 스스로 이뤄나가는 희망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나의 욕망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자각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