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전에

영가전에 5

이 생을 마치고 다음 생으로 갈 때 영가님의 발목을 잡는 것은 바로 마음이다. 마음이 윤회할 때 마음에 탐, 진, 치의 삼독심이 묻어있으면 다음 생도 삼독심으로 살아가게 된다. 불국정토란 곧 청정한 마음이다. 때문에 불국정토에 가기 위해서는 마음을 깨끗하게 하면 된다.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은 탐진치 삼독을 버리는 것이다. 어리석은 마음 즉 치심에서 탐심과 진심이 생겨난다. 미혹함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삿된 마음에서 벗어나야 하며, 삼독심에서 벗어나는 것이 곧 반야지혜를 이루는 일이다.
Read more

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6

아비달마 불교의 철학적 성격을 규명한다. "일체는 12처다."라는 진리는 생문 바라문의 질문에 따른 부처님의 대답이다. 부처님은 당시 사회를 지배했던 힌두교적 사상을 토대로 "이 세상을 주재하는 근원적인 존재가 무엇이라 생각하느냐?"고 질문한 생문 바라문에게, 세상은 브라흐만이 주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고 경험한 것"일 뿐이라고 파격적으로 답했다. 또한 아비달마에서는 '무언가 있다'고 생각하는 관념적 존재를 해체하는 기준으로 '법'을 내세운다. 5온, 12처, 18계와 같은 개념은 아비달마에서 법을 해체(그룹핑)하는 각각의 범주이다. 아비달마에서는 이러한 법을 객관적인 실재로 규정하고, 대승불교에서는 법의 '실재'를 비판하지만 중요한 것은 법의 실재성을 둘러싼 철학적 논쟁이 아니라, 법의 공상을 통찰하여 열반으로 간다는 수행 그 자체이다.
Read more

영가전에

영가전에 4

극락은 비행기나 차를 타고 이동해서 갈 수 있는 공간적인 개념이 아니다. 극락이란 번뇌망상이 없어져 무명업장을 벗어난 곳이다. 백중에 영가님을 위해 기도를 하는 것은 영가님이 삼독심을 버리고 무명업장을 벗어나기를 바라는 행위이다. 삼독심을 버리고 극락에 가기 위해서는 모든 것이 무상임을 깨쳐야 한다. 무상이란 무엇인가? 생과 사, 생과 멸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연이 주도함을 아는 것이다. 흔히 무상을 무언가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라고 오해하지만, 사실 모든 것은 찰나찰나에 생하고 멸한다. 우리의 몸과 마음도 마찬가지이다. 이 몸을 떠나 다음 생을 받는 것 역시 생멸의 자연스러운 이치임을 이해한다면 떠나는 육신과 삶에 탐진치 하지 않고 극락에 한 발짝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Read more

영가전에

영가전에 3

불교에서 말하는 '죄'는 탐진치 삼독이다. 내가 무엇인지 몰라서 집착하고 화를 낸다. 탐욕과 분노는 나를 제대로 모르는 어리석음에서 비롯된다. 무명으로 인한 악업에는 반드시 과보가 따른다. 모르고 지은 죄, 알고도 지은 죄를 없애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죄의 실체가 본래 없다는 것을 제대로 알면 된다. 죄는 마음 따라 생겨날 뿐 그 자체로써 자성을 가진 것이 아니다. 죄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것을 제대로 이해한 후에는 참회를 해야 한다. 이해와 참회가 함께 갈 때 비로소 죄가 사라진다. 참회한다는 것은 내 마음을 닦는 수행을 한다는 것이다. 수행과 참회는 같은 말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보살심과 중생심

전 같지 않은 장마. 불어난 계곡물을 보며 생각하는 기후위기와 보살심의 상관관계. '쌍윳따 니까야' 말리까 경에서 부처님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말라."고 했다. 그러나 부처님 당시보다 더 넓게 더 조밀하게 얽히고설킨 현대서회에서는 단순히 상대방을 사랑하는 소극적인 자세로 인류에게 닥친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지금 이 순간부터 반드시 보살의 마음을 가지는 것이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제1 마음가짐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