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심과 중생심

전 같지 않은 장마. 불어난 계곡물을 보며 생각하는 기후위기와 보살심의 상관관계.
‘쌍윳따 니까야’ 말리까 경에서 부처님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말라.”고 했다.
그러나 부처님 당시보다 더 넓게 더 조밀하게 얽히고설킨 현대서회에서는 단순히 상대방을 사랑하는 소극적인 자세로 인류에게 닥친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지금 이 순간부터 반드시 보살의 마음을 가지는 것이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제1 마음가짐이다.

#공동체, 기후위기, 보살심, 자비, 중생심

불어난 계곡물을 바라보는 관점

요즘 장마로 엄청난 비가 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오가는 이 없는 가운데 매일 증심사에서 증심사 버스 종점까지 포행을 하고는 했습니다. 포행길, 불어난 계곡물이 흘러가는 장면이 하도 장관이라 휴대전화 카메라로 그 모습을 담기도 했지요.

그러던 어느 날 뉴스를 보는데 광주천의 불어난 물이 나오는 것입니다. 내가 보았던 멋진 계곡물이 하류로 내려가서는 갖가지 피해를 일으키는 문제 상황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내 눈으로 볼 때 멋있었던 장면이 한결같이 멋지기만 한 것은 아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만약 과거에 불어난 계곡물 때문에 크게 위험에 처했던 사람이 있다고 할 때, 그 사람이 내가 본 것과 똑같은 무등산 계곡물을 본다면 어떨까요? 위협감을 느끼고 불안함을 느낄 것입니다. 그래서 그 이가 나에게 본인의 경험이나 감정을 전달했다면 어땠을까요?

여러 가지 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공감입니다. “그런 일이 있었구나. 거기까지 헤아리지 못해서 미안해.” 두 번째는 자기주장입니다.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건데 네가 너무 예민하게 굴어서 내 기분까지 망쳤구나.” 오히려 비난에 가까운 반응입니다. 세 번째로 이런 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 물이 밑으로 내려가면 여러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니 여러 가지 방안과 대책이 필요하겠구나.”

불어난 계곡물을 보고 “야 참 멋있다!” 하고 마는 사람은 중생의 마음을 가진 평범한 사람입니다. 이 때 누군가의 어려운 경험을 전해 들었을 때 “큰일을 겪었구나.” 라고 위로하는 이는 나름대로 보살행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생의 마음입니다. 수해를 입은 중생들의 고통에 함께 마음 아파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보살의 마음을 가진 사람입니다. 이렇게 흘러가는 계곡물 하나만 놓고도 여러 가지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쌍윳따 니까야> 말리까 경

부처님 당시에 독실한 부처님의 신자인 코살라국의 왕 파세나디 왕이 살았습니다. 그의 부인인 말리까 왕비도 불심이 아주 깊었다고 합니다. 하루는 왕과 왕비가 높은 누각에 올라 코살라국을 두루 살펴보았습니다. 왕이 물었습니다.

“당신이 생각하기에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입니까?”

말리까 왕비가 이렇게 대답하면서 왕에게 되물었습니다.

“폐하께서 생각하시기에 어떤 것이 가장 소중합니까?”

왕이 대답하기를 “나도 내 자신이 가장 소중합니다.” 하였습니다.

왕과 왕비가 부처님께 이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이 때 부처님께서 이러한 게송으로써 대답하셨습니다.

마음을 다 기울여 곳곳을 돌아다녀도,
자기 자신보다 소중한 사람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네.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가장 소중하다고 여기니,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말라.

나를 사랑한다면 남을 해치지 말라

<상윳따 니까야> 제1권에 나오는 ‘말리까 경’의 일부입니다. 이 세상의 누구라 할지라도 자기 자신을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누군가 자기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말라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입니다.

게송의 전반부는 왕과 왕비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그리고 후반부에는 그러한 중생의 생각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만약 자기 자신을 사랑한다면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말라는 것이지요. 내가 그렇듯 다른 사람도 그 자신을 가장 아낄 터이니, 그가 가장 아끼는 것을 결코 해쳐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역으로 말하면 다른 사람이 나를 해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다른 사람이 나를 해친다면, 그는 나에게 제일 소중한 것을 해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내가 나를 사랑하는 만큼 남을 사랑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마음에서 보살심이 나옵니다. 그런데 우리는 중생이기에 내 감정과 내 느낌이 1순위입니다. 계곡물을 보고 ‘경치가 멋있다.’, ‘사진을 찍어 남겨놓아야지.’라고 생각하는 것은 나의 생각만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일 수해의 피해를 입어본 사람이라면, 혹은 그러한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면 나의 경험을 통해 다른 사람의 고통을 미루어 짐작하고 공감할 수 있습니다. 보살의 마음은 그냥 나는 것이 아닙니다. 약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나에게 그치지 않고 남을 헤아리려고 하는 수고가 필요합니다.

얼마나 다른 사람의 마음에 공감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부처님께서는 ‘네가 네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그렇게 하라.’고 대답하신 것입니다.

더 연결된 사회… 더 필요한 보살심

다른 한편, 부처님 당시와 지금 우리의 현실은 어떻게 다른가요? 부처님이 했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나요? 과거에 비해 요즘은 모든 것이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증심사 계곡물이 불어나서 광주천이 범람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중국, 일본, 방글라데시 할 것 없이 엄청난 폭우와 같은 재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들의 재난이 우리나라와는 상관없는 단지 그들만의 재난일까요?

동아시아에서 생산하는 농산물들이 길고 심해진 몬순에 영향을 받는다면 그것은 기후위기뿐만 아니라 식량위기를 초래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우리가 텔레비전을 보면서 남의 얘기를 하는 것처럼 무심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그들의 위기가 곧 우리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내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상대방을 사랑하자는 소극적인 자세로는 현재 인류가 짓고 있는 업보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개개인이 나름대로 착하게 살고, 봉사하고, 보시하면서 살고 있다 하더라도 인류 앞에 다가와 있는 위기를 피해갈 수는 없습니다. 나 개인은 악업을 짓지 않고 살고 있을지라도 이미 지구상 인류들은 보이지 않게 너무나 많이 얽히고설켜 ‘사람답게’ ‘산다’는 이유만으로 지구에 악업을 짓고 있는 것입니다.

기후위기는 환경 문제가 아니라 보살심의 문제

기후위기가 성큼 다가온 현실에서 인류뿐만 아니라 자연과 지구에까지 보살의 마음을 가지지 않으면 진실로 심각한 기후위기에 봉착할 것입니다. 소극적인 보살의 마음을 가지는 정도로는 인류 앞의 위기를 극복하기 어렵습니다. 이제는 반드시 모든 대상에 대하여 보살의 마음을 가져야만 우리도 살고, 우리의 후손들도 안전한 세상에서 살 수 있습니다. 이제 막 태어날 세대의 앞날이 우리가 발현해낼 보살심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기후학자들이 한결같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온도가 지금보다 0.5℃ 더 올라가면 기후변화를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온다고 말입니다. 그 시기가 언제인가 하니 불과 15년 남짓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지금 이 순간이 One last chance, 마지막 기회입니다. 지금 이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면 20년 안에 지구는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받습니다.

불자라면 이 문제를 단순한 기후의 문제나 환경의 문제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부터 반드시 보살의 마음을 가지는 것이 우리 인류의 생존의 문제라는 마음가짐을 가져야겠습니다.

Previous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5

영가전에 3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