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들의 소원
공원에 가면 일상의 작은 행복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중생들에게 행복이란 지금보다 조금 덜 행복한 삶, 지금보다 조금 덜 괴로운 삶이다.
이런 평범한 사람들에게 불교가 해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사회적, 물질적 의미의 무언가를 해줄 수는 없다. 다만 불교에서는 '걱정할 시간에 공을 들이라.'고 제안한다.
공을 들이는 목적은 결코 현재 여기에서 잘 먹고 잘 사는 데에 있지 않다. 공을 들이는 것은 삶 너머에 있는 궁극적 깨달음을 얻기 위함이다.
현대인들은 매우 축소된 종교의 역할 속에서 단지 힐링, 명상, 쉼 같은 것을 원하지만 불교가 추구하는 행복, 불자가 추구해야 할 행복은 궁극적 행복이다.
궁극적인 행복인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서는 원을 세워야 한다. 매일 아침 행선축원을 읽는 것부터 궁극의 행복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다가서보자.
Read more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코로나19 교회 집단 감염 사건으로 보는 광신과 본능.
2020년 여름, 교회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가 일어나 경각심을 일으켰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때 이해할 수 없는 '맹신'의 현상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교회는 인간의 본능에 내재되어 있는 '군집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놀거리가 있고 즐거움이 있고, 누군가와 함께 있고 싶다는 군집욕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에 강한 믿음의 대상으로 발전하곤 한다.
그러나 부처님은 욕구와 본능을 다스릴 수 있다고 분명하게 말씀하셨고, 사람들과 어울려 있다보면 불필요한 번뇌가 생기므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리고 말씀하셨다. 자비심으로 본능을 다스릴 때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부처님이라면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인간은 복으로 산다"고 말씀하실 것 같다. 선업의 과보로써 받는 복과 덕으로 인생을 살아가자. 올바른 부처님의 제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
Read more
자연재해와 무아사상
2020년 여름, 증심사는 수해를 입었다. 연이틀 퍼붓는 비에 건물과 진입로, 배수로 등에 피해를 입은 것이다. 피해 당사자가 남이 아니라 내가 되는 순간 이성은 사라지고 감정이 앞선다.
"왜 나에게 이런 일이!" "내가 뭘 잘못했다고!" 모든 초점이 '나'로 모아진다.
내가 있다는 생각을 버리지 못하면 자연의 온갖 변화 앞에서 분노하고 원망하고 불안해하는 마음만 들끓을 것이다. 자연재해 앞에서 파국으로 가지 않으려면 내가 있다는 생각에 눈 멀어 있는 현실을 자각해야 한다. 그리고 나의 수행이 곧 지구를 정화하는 길임을 깊이 깨달아야 한다.
Read more
오계(五戒) 불살생(不殺生) 2
오계 중 첫 번째 계율인 '불살생'과 관련한 여러 사례와 생각할 거리.
불교에서는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사람에 대하여 죽음을 부추기거나 말로써 찬양하는 경우, 선동하는 경우는 불살생 계율에 준하여 엄격하게 금기한다.
그러나 중한 병에 걸려 자신과 주변인 모두가 고통받는 상황에서 스스로 곡기를 끊는 경우, 그리고 깊은 삼매에 들어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그대로 열반에 이르는 경우에는 그것을 굳이 막지 않아도 된다.
불자의 육식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부처님께서는 세 가지 면에서 순수한 고기를 섭취하는 것은 금하지 않았다. 자신을 위해 살생됨을 보지 않고, 그러한 사실을 듣지 않고, 그러했으리라고 의심할만한 정황이 전혀 없는 경우다. 수행자도 공양물을 선호의 대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대승불교적 견지에서 생활하되, 근본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한 지혜롭게 대처해야 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