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⑩ | 멸성제 – 해탈 (解脫) 2

해탈은 염오 – 이욕 – 해탈지견의 과정으로 이뤄진다. 계정혜 삼학을 닦아 선정과 삼매로써 통찰지에 이를 수 있다. 지혜가 밝아지면 오온을 미워하는 마음이 일어나고, 오온을 미워하는 마음이 있어야만 욕망[갈애]하는 마음을 완전히 끊어낼 수 있다. 염오와 이욕의 결과로 드러나는 구체적인 깨달음의 내용이 바로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의 삼법인이며, 삼법인을 완전히 체화하는 것이 열반의 경지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⑨ | 멸성제 – 해탈 (解脫)

멸성제는 괴로움의 소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이다. 괴로움의 소멸은 갈애가 남김없이 소멸한 것이고 집착 없음이고 해탈이다. 해탈은 부처님 당시의 수행자[사문]들이 두루 사용했던 개념이나, 해탈에 대한 정의는 당시 사문들과 부처님의 그것이 확연히 다르다. 당시 사문들은 내 안에 존재하는 본질적인 나인 ‘아트만’을 상정했고, 아트만이 돌아갈 곳인 세상의 근원 ‘브라흐만’을 상정했다. 사문들에게 ‘해탈’이란 아트만이 카르만의 조종으로 윤회를 거듭하지 않고 본래 근원인 브라흐만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부처님은 아트만과 브라흐만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되, 다만 세상은 연기의 법칙에 의해 무시무종으로 이어지며 윤회한다고 전제했다. 멸성제는 부처님의 고유한 깨달음으로써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설명이며, 괴로움이 소멸할 때 해탈 즉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남은 절로 획득되는 것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부처님의 열반

일반적으로 부처님의 죽음이나 큰스님의 죽음을 두고 "열반했다"는 표현을 쓴다. 그러나 열반이라는 말은 깨달음을 얻은 경지를 말하기에 엄밀히 말하면 성인이 돌아가셨을 때에는 '반열반' 또는 '입적'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적절하다. 부처님은 돌아가시면서 세 가지 유언을 남겼다. 부처님 당신이 아닌 스스로를 의지하고 부처님이 설한 법을 의지하라는 의미를 담은 '자등명 법등명'. 자기 자신을 의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의 '사념처'. 사념처 수행을 대하는 자세로써 '게으르지 말고 열심히 정진할 것'이 그것이다. 부처님의 마지막 유언으로 하여금 현재의 불자들이 나아가야 할 길과 공부해야 할 과제를 다시금 되새겨본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