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① – 고성제 (苦聖諦)

2024년 백중을 맞이하여 불교 교리의 핵심인 사성제와 팔정도를 다시 한 번 공부하는 시간을 갖는다. 불교의 핵심은 사성제이다.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의 사성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고성제, 괴로움이 오온에 대한 집착에서 나왔다는 진리이다. 초기불교에서 오온은 ‘나’를 해체했을 때 ‘나’는 없고 다섯 가지 특징만 있더라는 부처님의 발견이고, 이 오온의 개념은 후대로 전해지면서 불교가 물질세계를 설명하는 토대로 발전하게 된다.
Read more

반야심경

반야심경 해설 5 오온, 내 마음이 만들어낸 이미지

오온은 색온, 수온, 상온, 행온, 식온으로 이루어졌다. 눈 앞에 어떤 대상이 있고 그 대상이 아름답고 다른 꽃과 비교해 더욱 붉고 그래서 꺾어 가져가고 싶은 마음이 오온이다. 오온은 순차적이 아니라 동시에 일어난다. 오온은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의 초점이 맞은 곳에서 주어진 정보에 의해 내 마음이 만들어 낸 이미지이다. 대상은 하나라도 그것을 보는 주체의 마음에 따라 대상은 백 가지 의미가 되고, 백 개의 세계가 된다. 오온이 공하다는 것은 내가 마음속에서 만들어낸 이미지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무언가에 조건 지어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무엇에 조건 지어졌는가? 내가 가진 관심에 조건 지어졌다. 그것을 인식하는 나에게 조건 지어졌다. 오온이 공하다는 것을 부가 설명하는 말이 바로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다.
Read more

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7

12연기를 언뜻 들으면 이해하기 쉽다고 착각하지만 12연기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아주 심오하고 어려운 일이다. 마치 너무 맑고 투명한 호수는 언뜻 보면 그다지 깊어 보이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12연기를 설명하는 네 가지 방식 중에서 남방불교에서는 '분위연기'를 채택한다. 12연기의 12개 요소가 과거, 현재, 미래의 생에 걸쳐 5온을 상속한다고 풀이하는 해석이다. 이 같은 분위연기적 해석은 삼세양중인과설로 이어진다.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인과가 두 번 반복되는 것으로 과거의 인이 현재의 과가 되고, 현재의 인이 미래의 과가 된다. 이때 등장하는 무명 행 식 명색 촉 수와 같은 12연기의 요소들은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단어의 개념과 달리 아비달마만의 독자적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렇게 이해한다 하더라도 과학적이고 현대적인 언어로 12연기를 설명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실참수행을 통해 12연기를 체득해야 할 것이다.
Read more

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5

오온은 무엇인가? 흔히 '색수상행식'이라고 답한다. 답을 할 때, 불교의 교리를 일반적인 지식이나 실용 논리로써 인식하는 오류에 빠지지 않았는지 점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오온은 단지 색수상행식이 어떤 것이다 하는 지식이 아닌 나라는 존재가 무상하고 괴롭고 무아라는 것을 통찰하기 위해 나를 해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오온은 곧 '나'다. 세상에 실제 존재하는 것으로 착각했던 '나'가 실은 머릿속에서 만들어진 고정관념일 뿐 다섯 가지 무더기가 모여있는 것이 나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오온을 통해 아공과 법공을 깨달으면 제일 먼저 일어나는 것이 염오의 과정이며, 염오의 과정으로 내 안에 쌓여있던 탐욕이 빛바래는 과정을 거쳐 궁극적인 열반에 이른다. 오온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처님의 대답이며, 수행으로 가는 첫걸음이다.
Read more

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2

제1장에서 초기불교의 핵심은 '해체해서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2장에서는 초기불교의 기본 주제가 '행복 추구'라고 설명했다. 제3장 '열반-초기불교의 궁극적 메시지'는 앞의 두 장이 더욱 심화된다. 행복의 추구라는 인간 공통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목표에 도달하는 레시피(법칙)이 있어야 한다. 부처님이 제시한 행복 레시피는 사성제이며, 사성제는 곧 불교가 인간을 어떻게 보는지,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 인식과 존재론을 어떻게 제시하는지에 다름 아니다. 이렇게 불교의 시각을 정리한 것이 초기불교의 교학체계이며, 이러한 교학체계는 단순히 지식으로써의 불교가 아닌 '어떻게 살 것인가?' 혹은 '어떻게 행복해질 것인가?' 라는 우리 인생의 명제와 맞닿아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