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다스리기

명상의 시간

'명상'이라는 말이 일반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요즘이다. 불교 밖에서 명상은 '힐링'의 이음동의어로 쓰이고 있다. 일반인들은 명상을 '마음을 평온하게 해주는 무언가' 혹은 '눈을 감고 고요하게 아무 생각을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불교에서 명상의 목표는 팔정도를 이루는 것이며, 팔정도와 계정혜 삼학은 항상 같이 움직이다. 계율을 지키고 선정을 닦고 지혜를 찾는 것. 불교 명상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지금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명상을 균형 있는 시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Read more

신행

동지의 의미

동지가 되면 절의 구성원들과 불자들이 모여 새알빚기 울력을 한다. 사심 없이 함께 모여서 즐겁게 일하는 것은 행복으로 나아가는 길이자 나도 모르게 공덕을 쌓는 일이다. 동지는 부처님 당시 인도에는 없었던 한국의 세시풍속이다. 그러나 사찰은 동지 새알빚기 등의 공동체 문화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돈이 곧 신이 된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봉사와 보시의 장을 제공해야 하며, 우리는 근본적인 종교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에 나와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열심히 수행해야 한다.
Read more

불교교리

자비에 대하여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증심사 목요봉사팀은 매주 목요일 자비를 행하고 있다. 자비심이란 무엇일까? 자비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사랑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서양 학자들은 사랑을 에로스, 필리아, 노도스, 프라그마, 아가페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불교의 자비도 사랑의 하나이다. 이처럼 사랑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연애감정'만을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사랑을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살아있는 것은 모두 행복하라"고 하는 부처님의 <자비경>을 구절구절 살펴보며 불교의 사랑과 자비를 다시금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