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참선강좌, 참선요지 2

마음은 말의 머리요, 생각의 머리요, 만법의 머리이다. 이것이 곧 화두(話頭)이다. 화두를 관할 때는 내 머릿속에서 이미 만들어놓은 이미지가 아닌 연기실상의 세계, 실상을 관해야 한다. 간화선은 실상을 그대로 보는 것이다.
"부처님께 절하는 이것이 무엇인가?" 라는 화두를 들 때, '부처님께 절을 하는 나'에 천착할 것이 아니라 지금 일어나고 있는 느낌 그대로에 집중해야 한다.
마음을 느끼고, 망상드르이 생겼다 사라지는 것을 느끼고, 그 생각들이 어디에서 생겨 어디로 사라지는 지를 관찰해야 한다. 그렇게 육근을 거두어들이고 마음을 고요하게 관찰할 때, 어느 순간 홀연히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Read more
온라인 참선강좌, 참선요지 1

근현대 중국불교 중흥조 허운스님의 '참선요지'로 공부하는 온라인 참선 강좌.
참선의 목적은 마음을 밝혀 성품을 보는 것이다. 마음을 밝히는 것은 마음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고 성품을 보는 것은 자성의 참모습을 실답게 보는 것이다.
참선의 선결 조건은 망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비로소 성품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망상을 제거한다는 말은 분별하기 이전의 있는 그대로는 보는 것이며, 이는 참선을 하는 목적이다.
망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 밖의 모든 것들과 내 마음이 부딪쳐서 생멸하는 생각이 없어져야 한다. 내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가, 이 생각을 하는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하는 것을을 돌이켜 통찰하는 것이 화두이며, 그 결과로써 번뇌와 보리, 생사와 열반은 모두 거짓 이름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Read more
텅 빈 절간에서 생각하는 사찰의 본질

2020년 봄, 코로나19 방역 지침으로 모든 법회와 행사를 취소했다. 그야말로 텅 빈 절간인 증심사에서 사찰의 본질을 생각한다.
사찰은 수행하고 참배하는 곳이다. 왜 불자들은 수행하고 참배하는가?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오욕과 탐진치와 같은 번뇌에서 벗어나 행복한 마음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수행이다.
절에 오는 것, 오는 행위보다 더욱 중요한 본질은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 하는 노력이다. 빨리 절에 사람들이 돌아오기를 바라기에 앞서, 당신의 마음이 지금 건강한지, 따뜻한 질문을 건넨다.
Read more
입춘대길 건양다경

새해가 오고 입춘을 맞이하며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라는 문구를 대문에 붙인다.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기를 바라며, 양의 기운이 일어서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바란다는 의미이다.
자연의 모든 것들은 봄이 오나 겨울이 오나 바라는 바 없이 그저 '스스로 스러한' 자연일 뿐인데, 왜 인간은 소원하는 바가 있고 목적이 있는 걸까?
마음으로 무언가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경사스럽기만을 바라나 자연은 그럴 수 없다. 꽃 피우는 진달래와 개나리, 그 자연의 모습을 바라보며 '평상심이 도'라는 말의 의미를 깊이 생각해본다.
Read more
깨달음이란?

초기경전에는 부처님을 만나 가르침을 들은 즉시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과를 증득했다는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 왜 그럴까? 먼저 부처님과 같은 성인은 친견하기만 해도 그에게서 풍겨져 나오는 자비심에 감화된다고 한다.
다른 측면에서는 깨달음의 속성을 생각해봄직하다. 깨달음은 어두운 방에서 불을 켜듯 단박에 온다. 자전거를 어느 순간 탈 수 있게 되는 것과도 같다.
우리네 신행도 그러하다. 막연하게 공부하고 이해가 되는 것 같은 것은 깨달음이 아니다. 깨달음은 자신이 완전하게 바뀌는 것이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마음처럼 되지 않더라도 처음 먹은 마음을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