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경문

자경문 해설 5

불교에서는 선우(善友)를 사귀고 악우(惡友)를 멀리하라고 말한다. 좋은 도반이 없거든 차라리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수행하라는 구절도 있다. 요즘은 처세술의 일환으로 이러한 말을 '손절'이나 '관계 끊기'의 근거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기실 이 말의 전제는 스스로가 충실한 수행자라는 데에 있다. 스스로를 수행자로 규정지어도 여러 현실의 여건상 타인을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으로 구분짓고 부러 가까이 하거나 부러 멀리 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누군가를 선우나 악인으로 분별하기에 앞서 스스로가 충실한 수행자인지를 살펴보고, 누군가를 분별하는 데에 나의 욕심이 개입되지는 않았는지 가려보아야 한다. 좋은 것을 가까이 하는 것은 나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깨달음을 얻는 수행에 전념하기 위함임을 명심해야 한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4

삼악도 고통의 근본은 탐욕에 있다. 재물에 인색하지 말고 남의 물건을 탐내지 말아야 한다. 내 안의 탐심을 없애는 데에 제일 가는 수행은 보시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몸으로 봉사하거나, 재물로 보시하거나, 마음으로 뭇 중생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 모두가 훌륭한 보시의 방법이다. 빈 손으로 와서 빈 손으로 간다고 말하지만, 기실 우리는 사는 동안 쌓아온 업의 과보를 지니고 떠난다. 보시하고, 수행하고, 말을 떠나 홀로 자신을 성찰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사는 동안 쌓을 수 있는 선업이자 공덕에 다름 아니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3

부처님의 진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어리석은 무명에 빠져 사는 것은 말세의 특징이 아니라 중생들의 원래 살아가는 모습이다. 중생들은 연기법을 올바로 알지 못하고 인연의 도리를 알지 못하고 인과업보의 도리를 알지 못하기에 몸뚱아리가 ‘나’라고 철석같이 는다. 이러한 무명에서 교만이 싹트고, 이러한 무명에서 전도몽상의 삶을 살아간다. 깨닫는 것은 필연적으로 나 혼자만의 노력이 아니기에 오직 수행하고 금생에 마음을 밝히는 것으로 은덕을 쌓아야 한다.
Read more

마음다스리기

자신감은 어디에서 비롯되나

시험을 준비하든, 인생에 고비를 지나가든, 사람들은 무언가 믿을 대상이 필요하다. 믿음의 대상이 필요하다는 말은 현재 상태가 불안하다는 뜻이다. 불안함은 미래를 알 수 없는 데에서 기인한다.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불안해 하지 않는다. 외부에서 믿을 대상을 찾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그는 그 자신을 믿기 때문이다. 믿음은 확인된 지식이다.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올바로 아는 사람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확인된 지식에서 자신감이 생겨난다. 정말 어려운 상황에서, 희망이 끊어진 상황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필요한데, 그 믿음은 평소에 자신을 성찰하는 자세가 습관이 되었을 때 보다 수월하게 불러올 수 있다. 자기를 알아차리는 것은 수행이자 믿음이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2

불교에서 법(法)은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 번째는 부처님이 말씀하신 연기와 공의 진리이고, 두 번째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 이 세계를 지배하는 법칙은 연기의 진리이다. 연기법은 인연화합, 인과업보, 상의상관의 세 가지 특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법은 시간과 공간, 흥과 쇠의 분별이 없는 절대 진리이다. 부처님이 발견한 이러한 법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열심히 수행해야 한다. 공안에 대한 믿음과 의심으로 끊임없이 참구하여 깨달음을 얻겠다는 커다란 원을 세워야 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