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왕삼매론 해설 3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며,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주기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
친구를 사귀는 데 있어 내가 이롭고자 하지 않음, 즉 이타심을 장애로 알면 의리가 상하게 되는 마음의 장애를 만난다. 내가 이롭고자 함 없이 그냥 함께 있는 것, 그냥 내어주는 것이 자연이다. 벗을 사귐에 있어서도 내가 이롭고자함 없이 그저 인연에 의지하여야 한다.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주기를 바라고 내가 남에게 순종하는 것을 장애로 여겨 이를 피한다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지는 더 큰 장애를 만나게 된다. 내게 순종하지 않는 사람, 되레 내가 존중하고 배려해야 할 사람들과 함께 할 때 무심하고 주고받는 깨달은 이의 처세를 행할 수 있다.
Read more
보왕삼매론 해설 2
공부하는 데 마음에 장애가 없기를 바라지 말고, 수행하는 데 마(魔)가 없기를 바라지 않아야 한다.
장애가 없고 마가 없으면 마음공부의 단계를 차근차근 밟지 않은 것이며, 배움의 등급을 뛰어넘어, 깨닫지 못했는데도 깨달았다고 말하는 불망어죄를 저지르게 된다.
마음공부에 장애는 자연의 이치와 같이, 인간의 생로병사와 같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참선을 할 때 망상에 빠지고 포기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 역시 자연스러운 것이다. 마음은 찰나 생 찰나 멸한다.
장애라고 생각되는 마음도, 마장이라고 생각되는 현상도 생하고 멸할 것을 알아야 한다. 지레 이를부정하거나 포기하는 것이야말로 수행의 진정한 장애가 된다.
Read more
보왕삼매론 해설 1
보왕삼매론은 원나라 말기 묘협스님의 저서 '보왕삼매염불직지' 중 제17장 10대 애행만을 따로 떼어서 다시 한 번 축약한 경전이다. 열 가지 장애를 수행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어떤 장애도 생길 때부터 '누군가의 앞길을 가로막는 장애'라는 본분으로 나지 않는다. 자연 그대로인 상태를 누군가가 장애로 느낄 뿐이다. 장애라는 생각에서 장애가 되는 것이다.
중생들은 내가 있다는 생각과 이것이 나라는 생각에 속박되어 있다. 나라는 무명에 속박되어 있는지를 살피면 자연 아닌 것이 없고 장애인 것도 없다.
때문에 몸에 병이 있는 것도 장애가 아니며, 병의 인연을 살펴 병의 성품이 공한 것을 알면 병이 나를 괴롭히지 못한다.
Read more
인도사상과 불교 2
기원전 5세기, 상업이 발달하면서 제사의 중요성이 감소하고 '나'에 대한 고대인도인들의 본질적인 탐구가 시작된다.
인도 전통사상에서는 나와 세계의 관계를 아트만과 브라흐만으로 설명한다. 육체적 나는 거짓된 나이며 진실된 나는 아트만이다. 진실된 나를 주체로써 생각하면 아트만이고, 내 밖의 객체로 대하면 브라흐만이라 이름 붙인다. 본질은 같으나 이름이 다를 뿐이다.
부처님은 이러한 인도사상의 권위에 반기를 들고 비판하고 자신만의 논리를 펼친 사상가이다. 부처님이 깨달은 것은 아트만이나 브라흐만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나'를 해체하고 관찰하면 실체 없음이라는 것이다.
Read more
인도사상과 불교 1
현재 우리가 접하는 불교의 모습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가 등장하기 이전에 인도사회를 지배했던 인도사상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불교가 어떠한 사상적 토대 위에서 등장했는지, 인도사상과 불교사상은 과연 어떤 것이 비슷하고 어떤 것이 다른지를 구별하고자 한다.
인도사상은 선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베다'시대로부터 시작된다. 제사를 통해 신에게 공양물을 전달하는 데에는 제사를 정확하게 아는 브라만의 역할이 중요했으며, 브라만의 권위가 높았다.
제사에 참여하지 못하면 환생하지 못하고 무로 돌아간다고 생각했으며, 이는 훗날 윤회사상의 기반이 되는 동시에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이끌어내는 배경이 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