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4

사성제는 불교에 대한 사전 정보가 전혀 없는 사람에게 부처님이 불교란 무엇인지 1분 요약으로 설명한 것이다. 당시 인도사회의 보편화된 개념이었던 열반을 주제로 어떻게 열반에 이를 것인가를 이야기한 것이다. 부처님은 열반의 키워드를 '괴로움'으로 삼았다. 열반이란 괴로움의 소멸이라고 이야기했기 때문에 사성제의 전반부에서 괴로움이 무엇인지, 왜 괴로운지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이어서 열반이 무엇이다는 것을 괴로움의 소멸로 정의하고, 소멸에 이르는 방법으로 팔정도를 제시한다. 불교의 핵심은 괴로움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개념을 해체하는 것을 통해 무상, 고, 무아를 이해하는 것이다.
Read more

사회

공인의 덕목

공인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이자, 양도받은 권력을 대신 사용하는 사람이다. 양도받은 권력만큼 공인에게는 큰 권력이 있으며, 발언 하나 행동 하나에 커더란 파급력이 따른다. 공인과 수행자의 공통점은 언제나 자기성찰에 매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언제나 시민들이 자신을 지켜보고 있으며, 자신은 단지 시민들의 대리인에 불과함을 잊지 말고 자기 성찰을 해만 양도 받은 권력을 올바로 쓸 수 있다.
Read more

영가전에

영가전에 1

'영가전에'는 백중날 영가들에게 읽어주는 경전이다. 과연 영가란 무엇이며 백중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불교에서는 영가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3년 안에는 환생을 한다고 본다. 누군가 돌아가시고 3년이 지났으면 이미 윤회하여 다른 몸을 받았을 것이다. 때문에 우리가 '극락왕생하시라'고 기도하는 것은 누군가의 전생만을 두고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다른 몸을 받아 어딘가에 살아있는 불특정한 누군가, 나아가 모든 중생을 위해서 축원하는 것이 다름 아니다.
Read more

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3

불교에서 말하는 법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는 부처님의 가르침으로써의 법(담마)이요, 둘째는 존재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써의 법(다르마)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두 번째 의미의 법이다. 존재의 기본 단위로써의 법은 또한 두가지 성질로 나뉘는데, 먼저는 더이상 나눌 수 없는 고유성질을 가진 것이고, 이어서는 그러한 고유성질을 유지하는 최소단위인 찰나이다. 우리가 현실에 실제한다고 착각하는 것은 고유성질로 해체할 수 있으니 나라고 할만한 것이 없다. 아공이다. 또한 법은 찰나생 찰나멸이기에 무상하고 이는 법공을 의미한다. 초기불교에서는 아공과 법공을 공히 성찰해야 열반에 이를 수 있다고 말한다.
Read more

초기불교의 이해

온라인 일요강좌, 초기불교 이해 2

제1장에서 초기불교의 핵심은 '해체해서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2장에서는 초기불교의 기본 주제가 '행복 추구'라고 설명했다. 제3장 '열반-초기불교의 궁극적 메시지'는 앞의 두 장이 더욱 심화된다. 행복의 추구라는 인간 공통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목표에 도달하는 레시피(법칙)이 있어야 한다. 부처님이 제시한 행복 레시피는 사성제이며, 사성제는 곧 불교가 인간을 어떻게 보는지, 세상을 어떻게 보는지, 인식과 존재론을 어떻게 제시하는지에 다름 아니다. 이렇게 불교의 시각을 정리한 것이 초기불교의 교학체계이며, 이러한 교학체계는 단순히 지식으로써의 불교가 아닌 '어떻게 살 것인가?' 혹은 '어떻게 행복해질 것인가?' 라는 우리 인생의 명제와 맞닿아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