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⑤ – 집성제는 십이연기(十二緣起)

집성제는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이다. 괴로움이 일어나는 것은 갈애 때문이며 갈애가 윤회를 만든다. 괴로움의 원인인 갈애를 세세하게 구분하여 제시한 것이 십이연기이다. 십이연기는 연기법과 같은 것이 아니라 연기법의 일부이며, 열두 가지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아는 것보다 각 구성요소간 연결되어지는 관계성을 보다 깊게 살펴야 한다. 십이연기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근본 원인을 찾아들어가는 과정이며, 이를 이해하는 데에는 역관으로 추적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④ – 사성제의 구조 3

고성제의 중심인 ‘괴로움’을 불교에서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괴로움의 반대에 놓여 있는 행복을 들여다 봄으로써 괴로움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행복을 느낌으로 인식한다. 감각적으로 즐거운 느낌, 충족되는 듯한 느낌, 좋은 느낌 등이다. 반면 부처님은 감각적으로 느끼는 괴로움, 감각정으로 느끼는 즐거움,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 모두를 괴로움이라고 말한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범주의 행복이 불교적 관점에서는 괴로움에 해당하는 것이다. 감각에 의지하여 느끼는 감정들은 조건이 바뀌면 변화한다. 조건에 의지하는 것은 무상하고 무상한 것은 불완전한 것이고 불완전한 것은 괴로움이다. 세간에서 생각하는 행복조차도 무상한 것이고 괴로운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지점이 바로 고성제, 그리고 수행의 출발점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③ – 사성제의 구조 2

고집멸도 사성제의 네 가지 흐름에 문답 형식으로 접근하는 법. 고성제는 결과, 집성제는 결과가 일어난 원인이다. 멸성제는 결과, 도성제는 결과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원인과 결과가 무엇인지, 결과는 어떻게 또다른 원인이 되고 결과를 일으키는지를 제시한 것이 무명, 행, 식, 명색, 육처,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의 12연기이다. 연기법을 제대로 이해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즉 팔정도에 이를 수 있다. 연기법과 팔정도를 이해하고 체득하는 것이 불교의 모든 것이다.
Read more

마음다스리기

생활불교란 무엇인가

생활불교라는 말을 많이 쓰지만 실체가 모호하다. 출가한 종교인이나 일생, 사회생활을 떠나 전업으로 수행하는 사람을 두고 생활불교라는 말을 쓰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일상생활 속에서 마음이 편안함을 추구하는 힐링이 생활불교와 동의어이지도 않다. 생활불교는 팔정도를 일생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십악참회에 대비하여 나의 행을 관찰하고 바로잡는 것이다. 팔정도를 일상에서 실천함의 기준은 ‘부처님이라면’이라는 가정에 있다. 부처님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위하고 말하는 것이 올바른 기준에 따라 생활불교를 실천하는 것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당당한 수행자

부처님께서는 "수행자들은 청정한 삶을 살아야 하며, 청정한 삶을 사는 이유는 고통을 바로 알기 위해서다."라고 말씀하셨다. 수행자는 어디에도 물들지 않은 청정한 삶을 살아야 한다. 그래야만 중생들이 고통과 번뇌에 물들어서 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처님은 수행의 근본으로 방일하지 않음을 꼽았는데, 게으르지 않고 계율과 선정과 지혜를 증득할 때야 비로소 열반을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오백나한대재 회향에 부쳐, 당당한 수행자란 어떤 수행자이며 나는 어떤 수행자인가를 되돌아보고 자신을 성찰하는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
Read more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