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행복에 관하여

동짓날이 되면 동지죽을 쑤어 먹고 동지죽을 뿌려 액운을 막고 동지기도를 하면서 주변 사람들의 행복을 기원한다. 동지기도를 앞두고 마음 맞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웃고 떠들면서 스스로 의미를 담아 새알을 빚는 순간에 동참자들은 행복감을 느낀다. 이런 행복감은 인생을 보다 의미 있게 해주는 윤활유가 되고 ‘살아있으니 살아간다’는 생의 본능을 충전하는 배터리가 된다. 행복은 인생의 목표가 아니다. 잘못 설정된 인생의 목표로 인해 괴로움을 키우지 말자.
Read more

삶의 지혜, 생활법문

봄비 2

신라시대 골품제에 부딪쳐 좌절한 당대의 문장가 최치원은 가을비가 내리는 어느 날 고향을 그리워하는 시 '추야우중'을 썼다. 이 시는 흔히 타향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해석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세상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데에서 오는 좌절감이 묻어난다. 나를 알아주지 않아서 고통스러운 것은 중생들이 가지는 가장 큰 병인 무명, 즉 '내가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런 맥락은 중국의 시성 두보의 시에서도, 사형선고를 받은 70년대 참여시인 김지하의 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진각국사 혜심스님은 이렇게 무명에 젖어 있는 중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비가 내리는데 어디를 쏘다니느라고 쓸 데 없는 노력을 하는가?" 라고. 스님은 장대비가 쏟아지면 방 안에 가만히 앉아 있으라고 말한다. 내가 원하는 것은 내 밖에 있지 않고 안에 있기 때문이다. 비가 올 때는 가만히 앉아 그물코처럼 연결된 인드라망을 떠올리자. 그 화두에 골몰해보자.
Read more

삶의 지혜

봄비 1

비가 오면 감상에 젖어든다. 지나간 옛 인연을 떠올리기도 하고 괜스레 울적한 심상이 되기도 한다. 옛날 사람들은 내리는 봄비를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중국의 시성 두보는 '춘야희우'라는 시에서 비가 내리는 정취를 묘사하면서도 아직 버리지 못한 사대부의 꿈, 즉 중생심을 드러낸다. 반면 진각국사 혜심스님은 내리는 보슬비를 보며 딴 생각 피우지 말고 연기실상의 이치를 깨닫도록 노력하라는 당부의 말을 했다. 알듯말듯한 연기실상의 세계. 진리. 오로지 그 생각만 하는 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며, 세상을 제대로 보는 것이다.
Read more

보왕삼매론

보왕삼매론 해설 4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고, 일을 꾀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 세상 일은 인연에 따라 흘러간다. 예상치 못한 어려움과 곤란, 재앙이 닥쳐오는 경우에도 인연이라는 두 글자를 등대삼아야 한다. 세상 사는 것에 내 마음대로 안 되는 곤란이 찾아오는 것은 첫째, 이유를 모르기 때문이고 둘째, 기대하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인연법을 모르면 재앙(장애)이고 인연법을 알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곤란은 인연의 이치에 따라 왔다가 감을 알고,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있다 하더라도 곤란을 스승 삼아, 경험 삼아 더 나은 계획과 대비책을 준비해야 한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3

부처님의 진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어리석은 무명에 빠져 사는 것은 말세의 특징이 아니라 중생들의 원래 살아가는 모습이다. 중생들은 연기법을 올바로 알지 못하고 인연의 도리를 알지 못하고 인과업보의 도리를 알지 못하기에 몸뚱아리가 ‘나’라고 철석같이 는다. 이러한 무명에서 교만이 싹트고, 이러한 무명에서 전도몽상의 삶을 살아간다. 깨닫는 것은 필연적으로 나 혼자만의 노력이 아니기에 오직 수행하고 금생에 마음을 밝히는 것으로 은덕을 쌓아야 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