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④ – 사성제의 구조 3

고성제의 중심인 ‘괴로움’을 불교에서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괴로움의 반대에 놓여 있는 행복을 들여다 봄으로써 괴로움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행복을 느낌으로 인식한다. 감각적으로 즐거운 느낌, 충족되는 듯한 느낌, 좋은 느낌 등이다. 반면 부처님은 감각적으로 느끼는 괴로움, 감각정으로 느끼는 즐거움,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 모두를 괴로움이라고 말한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범주의 행복이 불교적 관점에서는 괴로움에 해당하는 것이다. 감각에 의지하여 느끼는 감정들은 조건이 바뀌면 변화한다. 조건에 의지하는 것은 무상하고 무상한 것은 불완전한 것이고 불완전한 것은 괴로움이다. 세간에서 생각하는 행복조차도 무상한 것이고 괴로운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지점이 바로 고성제, 그리고 수행의 출발점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③ – 사성제의 구조 2

고집멸도 사성제의 네 가지 흐름에 문답 형식으로 접근하는 법. 고성제는 결과, 집성제는 결과가 일어난 원인이다. 멸성제는 결과, 도성제는 결과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원인과 결과가 무엇인지, 결과는 어떻게 또다른 원인이 되고 결과를 일으키는지를 제시한 것이 무명, 행, 식, 명색, 육처,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의 12연기이다. 연기법을 제대로 이해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즉 팔정도에 이를 수 있다. 연기법과 팔정도를 이해하고 체득하는 것이 불교의 모든 것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팔정도② – 사성제의구조1

왜 사성제의 핵심은 고성제[괴로움]인가? 왜 멸성제는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는가? 부처님이 깨달음의 통찰로써 살펴보시되, 욕계 중생들은 태어날 때부터 고통과 함께 살아가며 괴로움이 곧 중생들의 속성임을 통찰했다. 이에 고성제 즉 괴로움에 대한 절실한 자각을 요하는 방식으로 사성제의 구조를 체계화했다. 또한 ‘열반’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은 것은 중생들로 하여금 열반을 관념화, 대상화, 개념화하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념으로써 이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순간 욕망과 집착이라는 번뇌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① – 고성제 (苦聖諦)

2024년 백중을 맞이하여 불교 교리의 핵심인 사성제와 팔정도를 다시 한 번 공부하는 시간을 갖는다. 불교의 핵심은 사성제이다.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의 사성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고성제, 괴로움이 오온에 대한 집착에서 나왔다는 진리이다. 초기불교에서 오온은 ‘나’를 해체했을 때 ‘나’는 없고 다섯 가지 특징만 있더라는 부처님의 발견이고, 이 오온의 개념은 후대로 전해지면서 불교가 물질세계를 설명하는 토대로 발전하게 된다.
Read more

삶의 지혜

인연법과 가까워지기 (feat. 조용필 ‘바람의 노래’)

조용필 '바람의 노래'의 불교적 해석을 통해 알아보는 불교의 인연법. 일상에서 흔히 쓰는 "인연"이라는 말은 불교의 인연생기(연기법)에서 파생했다. 인연은 조건들이 결합해서 결과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인연은 나이면서 동시에 네가 되는 연기법에 의해서만 성립한다. 나와 네가 각기 따로 있고 독단적인 존재라는 잘못된 생각이 고통과 번민과 번뇌를 만든다. 부처님이 제시한 세상의 이치는 연기법이고, 부처님이 제시한 인생의 기준은 계율이다. 어떻게 인생을 살 것인가? 라는 질문을 통해 부처님의 연기법과 계율을 다시금 새겨보자.
Read more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