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불교의 전파 과정을 따라가면서 생각해봄직한 화두.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무엇인가? 고조선 시대에 해당하는 시기, 고대 인도인들은 이미 '나는 누구인가?'라고 하는 고차원적인 철학과 고민에 천착했다. 그러한 시대적 흐름에서 탄생한 불교는 태생적으로 인도사상과 많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힌두교와 이슬람의 갈등 속에서 불교의 외피를 입은 인도사상은 서쪽으로 나아갈 수 없었고, 티벳과 중국 등 동쪽으로 퍼져나갔다. 우리는 이곳에 전해진 광범위한 인도/불교사상 가운데서 불교를 불교이게끔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Read more

불교교리

윤회(輪廻)

백중 기간에는 영가들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며 천도재를 지낸다. 죽은 사람이 무언가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는 윤회사상에 기반한 의식이다. 윤회란 무엇인가? 인도 바라문교에서 파생되어 불교에서 다르게 해석한 윤회에 대하여 알아본다. 부처님은 윤회하는 주체인 '아트만'의 존재를 부정한다. 업보는 있으나 작자는 없다. '나'라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라 '조건(인연)'이 있을 뿐이다. 모든 것은 인연 따라 일어나는 것일 뿐 그 자체라 함직한 것이 없다는 것을 곰곰이 이해해보자.
Read more

반야심경

반야심경의 핵심

불교의 방대한 가르침의 요약본인 반야심경. 그리고 반야심경의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첫 구절.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 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첫 구절이 담고있는 6개 키워드로 반야심경의 핵심을 설명한다. 불교 수행을 해야 하는 이유와 수행의 목표, 방법이 이 안에 다 들어있다.
Read more

불교교리

무상함과 간절함

지진이나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가 잦은 일본인들의 생활상에서 무상함에 대한 자각을 본다. 역설적으로 한 번 지나간 것은 다시 오지 않는다는 무상함 때문에 지금 이 순간에 더욱 집착하게 되고는 한다. 사라지는 것들에 집착하는 것은 아상 때문이다. 나, 나의 것, 내가 좋아하는 것 등 '나'의 개념이 확장되기 때문에 집착이 일어난다. 불교의 자비는 '나'가 없어지는 것에서 시작한다. 상대방이 슬프면 나도 슬프고 상대방이 기쁘면 나도 기쁜 것. 진정한 사랑은 나를 지우는 것이다.
Read more

불교윤리

선과 악

영화 '사바하'로 생각하는 선과 악. 기독교에서는 절대 선과 절대 악을 상정하고, 죄를 씻기 위한 첫 계명으로 순종을 말한다. 우리 일반 사회에서는 선과 악에 대한 사회적 판단에 의해 동일한 행위가 선이 되기도, 악이 되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선과 악 그 자체가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죄에는 자성이 없다. 다시 말하면 공하다. 다만 탐진치에 사로잡힌 행이 악이요, 무명을 벗어나 자비를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 선에 다름 아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