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경문

자경문 해설 10

자경문 해설의 마지막 편. 다른 사람의 허물을 말하지 말며 대중을 향한 마음을 늘 평등하게 하라는 9~10번째 구절을 설명한다. 앞서 해설해온 자경문의 10가지 경책의 말씀은 결국 본능을 다스리라는 것과 집착을 버리라는 것, 두 가지 이야기로 귀결된다. 사람 몸 받기 어려운 육도윤회의 세계에서 지금 이 순간 부단히 수행하라는 당부이다. 우리는 부처의 경지라는 것도, 도라는 것도 언젠가 다다라야 할 미래의 목표라고 생각한다. 나와 내 밖에 무언가 있다는 생각, 주체와 객체로 모든 것을 분멸하는 것이 중생의 자연스러운 습이다. 그러나 세상의 성인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것은 내 밖에 무언가에 한눈팔지 말라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 나에 대한 원칙을 바탕으로 충실히 살아가는 그 순간이 부처의 삶이자 도에 이르는 길이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9

사랑과 정의 본질은 같다. 그 본질은 모두 애착이고 집착이다. 누군가 정스럽게 행동한다면 그 이유는 친밀감과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애착이 생기니까 상대방에게 친밀하고 다정하게, 정스럽게 대하는 것이다. 수행자란 집착하는 마음을 버리는 사람이다. 마음속으로 인정에 끌리고 이성을 흠모하는 마음을 버리지 못한다면 그는 머리를 깎아도 수행자가 아니고 도를 닦는 사람이 아니라 할 것이다. 정은 일견 자비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인정을 자비심으로 승화시켜야 한다. 조심해야 할 것은 인정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안에서 불러일으키는 집착이며, 집착을 이용해서 우리 안에 키우는 이기심이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8

여색이란 무엇인가? 사랑이다. 사랑은 흔히 3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서로에게 눈이 맞아 이끌리는 성욕의 상태이다. 두 번째는 자기만의 영역에 상대방이 들어와도 불편하지 않고 오히려 거리낌이 없는 친밀함의 단계이다. 세 번째는 애착, 곧 집착의 단계이다. 자경문에서는 사람에 대한 소유욕, 애착을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재물과 여색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방법이 바로 팔정도 가운데 하나인 정념이다. 비록 혼자 있어도 혼자가 아닌 것 같은 마음가짐, 초지일관의 마음가짐으로 스스로의 마음을 관찰하는 것이 재물과 여색을 다스리는 길이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6

사바세계 중생들을 움직이는 힘은 욕망이다. 욕망에서 모든 행이 비롯된다. 욕망은 나쁜 것일까? 그릇된 것일까? 부처님의 가르침은 욕망을 제거하자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은 욕망에 반하는 고행 수행의 극단까지 체험했으나 깨달음에 이르지 못했다. 욕망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깨달음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욕망을 부정하는 것도, 욕망에 충실하는 것도 아니다. 중도의 길을 가야 한다는 것이다. 중도의 길을 걷기 위해서는 매순간 깨어있어 나 자신을 살펴야 한다. 자경문에서는 본능적인 욕망을 다스리고 행동가지 하나하나를 성찰하는 지혜를 갖추기를 독려한다.
Read more

자경문

자경문 해설 1

자경문은 불도에 입문한 자라면 누구나 가장 먼저 만나고 외워야 하는 '스스로 경책하는 글'이다. 영화나 드라마에 주인공이 있듯이 우리 삶에도 우리 삶 전체의 중심이 되는 주인공이 있다. 이 주인공은 번뇌에 끌려 다니는내가 아닌 열반을 증득하고 연기실상을 깨달은 나이다. 나의 본래면목이 부처님 법을 따르는, 그것을 지향하는 주인공임을 명심하는 것에서부터 자경문은 시작한다. 중생의 삶은 깨달음을 등지고 번뇌와 함께 하기게 괴로운 삶이다. 우리가 번뇌와 함께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데에서 수행은 시작되며, 이를 알지 못하고 악업을 지으면 영원히 고통에서 벗어날 길을 요원하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