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③ – 사성제의 구조 2

고집멸도 사성제의 네 가지 흐름에 문답 형식으로 접근하는 법. 고성제는 결과, 집성제는 결과가 일어난 원인이다. 멸성제는 결과, 도성제는 결과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원인과 결과가 무엇인지, 결과는 어떻게 또다른 원인이 되고 결과를 일으키는지를 제시한 것이 무명, 행, 식, 명색, 육처,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의 12연기이다. 연기법을 제대로 이해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즉 팔정도에 이를 수 있다. 연기법과 팔정도를 이해하고 체득하는 것이 불교의 모든 것이다.
Read more

삶의 지혜, 생활법문

세파에 맞서는 불자들의 마음자세

기후위기, 전쟁, 고금리, 물가… 개인의 의지와 상관 없이 세상이 어수선하고 불안정한 시국이다. 이러한 세파에 맞서는 불자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첫째, 모든 일은 무상하며 결국은 지나간다는 진리를 마음에 새긴다. 둘째, 사람은 사람의 일을 다 하고 결과는 인연에 맞긴다는 ‘진인사대천명’의 연기적 진리를 체득한다. 셋째, 홀로 있을 때는 대중과 함께 있는 것처럼 욕망을 다스리고 대중(가족)과 함께 있을 때는 홀로 있는 것처럼 스스로 격려하고 스스로 위안한다.
Read more

마음다스리기

‘왜 나에게 이런 일이…’ 라는 생각이 들 때

예상하지 못했던 어려움이나 나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나에게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거야!” 하면서 분노하고 고통스러워 한다. 우리는 ‘인생의 주인공은 나’, ‘세상의 중심이 되어라’라는 말을 사회적으로 학습하며 살아간다. 기억속에 있는 서사적인 나와 현재 존재하는 체화된 나가 결합되어 ‘나’라는 실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가 있다’는 것은 거대한 착각이며, 그 착각에 의해 스스로를 더욱 고통스럽게 만든다. 고통과 분노의 순간에 나의 마음을 가라앉히고 깊은 수렁에서 건질 수 있는 것은 역설적으로 매일매일 꾸준히 수행해온 과거의 나이다. 정진은 우리를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다리이지만 동시에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Read more

삶의 지혜

인연법과 가까워지기 (feat. 조용필 ‘바람의 노래’)

조용필 '바람의 노래'의 불교적 해석을 통해 알아보는 불교의 인연법. 일상에서 흔히 쓰는 "인연"이라는 말은 불교의 인연생기(연기법)에서 파생했다. 인연은 조건들이 결합해서 결과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인연은 나이면서 동시에 네가 되는 연기법에 의해서만 성립한다. 나와 네가 각기 따로 있고 독단적인 존재라는 잘못된 생각이 고통과 번민과 번뇌를 만든다. 부처님이 제시한 세상의 이치는 연기법이고, 부처님이 제시한 인생의 기준은 계율이다. 어떻게 인생을 살 것인가? 라는 질문을 통해 부처님의 연기법과 계율을 다시금 새겨보자.
Read more

삶의 지혜

연기법 대로 인생 사는 법 (feat. 도연명)

혼란스러운 시기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여 농사를 일구고 살았던 시인이 일러주는 처세술. 중국 동진 후기에서 남조 송대까지 살았던 전원시인 도연명의 '신석'에서 길어올리는 연기법대로 인생 사는 법. 인간은 날 때부터 제각각이지만 서로 의지해 살아가고 있다. 나이로 지혜와 무명을 가늠할 수 없고 무언가에 중독된다 하여 세상의 시름에서 비켜갈 수 없다. 무주상보시라 하지만 내가 상을 내지 않는 것 보다는, 남들이 내게 관심이 없는 것이 자연스러운 이치이니 지나치게 생각하여 도리어 삶을 해치지 말고 마땅히 운명에 맡겨두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끝내야 할 곳에서 끝내버리고 다시는 혼자 깊이 생각 않는 것. 걱정도 적당히, 화도 적당히, 좋은 것도 싫은 것도 적당히 하고 끝낼 때 인생을 연기법 따라 살아갈 수 있다.
Read more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