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삶의 불교적 성찰

상윳다니까야 <뱀의 독> 이야기와 백유경 <거울 속의 한 사람> 이야기로 알아보는 삶에 대한 성찰. 우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나'라는 것은 지수화풍이 사대가 인연 따라 모인 것일 뿐 본질은 공한 것이다. 나라고 생각하는 나는 내가 아니라는 아공, 모든 존재는 공하다는 법공을 올바로 알고 성찰하는 것이 불교적으로 인생을 성찰하는 것이며, 인생을 올바로 보는 것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자비에 대하여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증심사 목요봉사팀은 매주 목요일 자비를 행하고 있다. 자비심이란 무엇일까? 자비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사랑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서양 학자들은 사랑을 에로스, 필리아, 노도스, 프라그마, 아가페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불교의 자비도 사랑의 하나이다. 이처럼 사랑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연애감정'만을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사랑을 폭넓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살아있는 것은 모두 행복하라"고 하는 부처님의 <자비경>을 구절구절 살펴보며 불교의 사랑과 자비를 다시금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Read more

불교교리

운명을 믿습니까?

사람들은 왜 운명을 믿는가? 만일 '운명'이라는 것이 있다면 이미 미래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미래를 바꾸는 어떤 노력도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만일 '우연'이 전적으로 지배하는 세계라면 1초 뒤에 무슨 일이 일어날 지는 신조차 미래를 알 수 없을 것이다. 불교의 인연설은 어떠한가?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는 인연설을 숙명론이나 운명론으로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부처님이 설하신 인연설은 인연의 고리가 마치 그물망처럼 촘촘하여 미처 우리가 상관관계를 바로 알아차리지 못할 뿐이라고 말한다. 자신이 원하는 욕망을 누군가 대신 말해주길 바라지 말고, 자신의 욕망을 의지와 비전으로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Read more

불교교리

죽음과 제사 그리고 불교

백중 기도 기간 중에 생각하는 죽음과 제사, 그리고 불교. 의학적 죽음은 뇌, 심장, 폐 등 세 가지 주요한 기관의 정지상태다. 사회적인 죽음은 살아있는 우리들의 삶에서 고인을 배제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정작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의학적 혹은 사회적 죽음의 개념이 아니다. 내가 없어지는 것, 그것이 두려운 것, 그렇기에 죽음을 두려워 한다. 49재는 돌아가신 영가가 염라대왕 등의 재판을 받으러 가기 전 마음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법을 설하는 시간이다. 영가들은 삶에 대한 애착을, 그리고 산 사람들은 영가에 대한 애착을 털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백중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보다 공을 들여 영가를 잘 보내드리기 위한 의식이며, 이것은 부처님의 말하는 자비의 실천이자 봉사에 다름 아니다.
Read more

불교교리

제사가 궁금해! 귀신은 있다? 없다?

백중은 영가님들을 위해 천도재를 지내는 불교의 명절이다. 천도재를 지내는 것은 돌아가신 영가님이 실재한다고 전제하는 바, 영혼의 유무와 귀신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있다고 믿자니 찝찝하고 없다고 치부하자니 무언가 미덥지 않은 '귀신'의 존재! 귀신은 있다, 없다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서 만들어낸 귀신이라는 상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 모든 것은 일체유심조. 마음이 만들어내고 마음이 상을 키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