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식 제사의 의미

절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은 시식과 법식을 베풀어서 영가님들로 하여금 하루 빨리 깨달음을 얻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사는 눈에 보이는 세계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와의 만남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는 우리의 감각 기관으로 인식할 수 없는 세계이다. 인식의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있다 혹은 없다고 말할 수 없으나 전기에너지와 같이 분명하게 작용하고 있다.
제사는 부처님을 청해 법을 설하는 자리이다. 부처님이 설법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의 여러 부류들이 참석한다. 불보살님은 물론 대상이 되는 영가와 유주무주 고혼애혼들이 두루 참석한다.
이렇게 부처님의 법을 설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공덕을 쌓는 것이다. 공덕을 쌓아 나도 모르게 지은 악업을 소멸시키는 일이다. 이렇게 불교식 제사는 부처님의 법을 베푸는 깨달음의 장이자 공덕을 짓는 수행의 장임을 명심하자.

영가전에 7

불교에서는 중생들의 삶의 형태를 네 가지로 분류한다. 태어나는 찰나 ‘생유’, 임종하는 찰나 ‘사유’, 태어나 죽기까지의 인생 ‘본유’, 임종 후 다음 몸을 받기 전까지의 상태 ‘중유’ 등이다.
이 중 태어나는 순간과 임종의 순간은 아주 중요한 순간으로 정의된다. 임종하는 찰나의 마음이 다음 생유의 마음에 결정적인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임종하는 순간에는 육신에 대한 애착, 가족에 대한 애착 없이 오로지 청정한 마음으로 부처님만을 생각해야 한다. 그 마음으로 다음 생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마음속에서 만들어낸 상이며 이미지라는 일체유심조를 깨닫고, 여남은 애착마저 다 놓고 극락세계에 가서 좋은 몸을 받아 태어나시라는 당부로 ‘영가전에’는 마무리 된다.

영가전에 4

극락은 비행기나 차를 타고 이동해서 갈 수 있는 공간적인 개념이 아니다. 극락이란 번뇌망상이 없어져 무명업장을 벗어난 곳이다. 백중에 영가님을 위해 기도를 하는 것은 영가님이 삼독심을 버리고 무명업장을 벗어나기를 바라는 행위이다.
삼독심을 버리고 극락에 가기 위해서는 모든 것이 무상임을 깨쳐야 한다. 무상이란 무엇인가? 생과 사, 생과 멸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연이 주도함을 아는 것이다. 흔히 무상을 무언가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라고 오해하지만, 사실 모든 것은 찰나찰나에 생하고 멸한다.
우리의 몸과 마음도 마찬가지이다. 이 몸을 떠나 다음 생을 받는 것 역시 생멸의 자연스러운 이치임을 이해한다면 떠나는 육신과 삶에 탐진치 하지 않고 극락에 한 발짝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영가전에 1

‘영가전에’는 백중날 영가들에게 읽어주는 경전이다. 과연 영가란 무엇이며 백중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불교에서는 영가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3년 안에는 환생을 한다고 본다. 누군가 돌아가시고 3년이 지났으면 이미 윤회하여 다른 몸을 받았을 것이다.
때문에 우리가 ‘극락왕생하시라’고 기도하는 것은 누군가의 전생만을 두고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다른 몸을 받아 어딘가에 살아있는 불특정한 누군가, 나아가 모든 중생을 위해서 축원하는 것이 다름 아니다.

생전예수재의 두 축, 참회와 공덕

윤달에 한 번 돌아오는 생전예수재. 생전예수재는 죽기 전에 살아생전 몸과 마음으로 진 빚을 청산하여 청정한 몸과 마음으로 죽음에 대비하고자 하는 수행의식이다.
왜 생전에 미리 업보를 소멸하고 청정하게 해야 할까? 다음 생에는 어떤 몸을 받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지금 수행할 수 있는 육신을 갖고 있는 이 순간에 열심히 수행해야 함을 되새기는 날이다.
생전예수재는 나의 업을 참회하고 선근공덕을 쌓는 날이다. 이 의식으로 하여금 매일매일 수행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날이다.

죽음과 제사 그리고 불교

백중 기도 기간 중에 생각하는 죽음과 제사, 그리고 불교.
의학적 죽음은 뇌, 심장, 폐 등 세 가지 주요한 기관의 정지상태다. 사회적인 죽음은 살아있는 우리들의 삶에서 고인을 배제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정작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의학적 혹은 사회적 죽음의 개념이 아니다. 내가 없어지는 것, 그것이 두려운 것, 그렇기에 죽음을 두려워 한다.
49재는 돌아가신 영가가 염라대왕 등의 재판을 받으러 가기 전 마음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법을 설하는 시간이다. 영가들은 삶에 대한 애착을, 그리고 산 사람들은 영가에 대한 애착을 털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백중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보다 공을 들여 영가를 잘 보내드리기 위한 의식이며, 이것은 부처님의 말하는 자비의 실천이자 봉사에 다름 아니다.

제사가 궁금해! 귀신은 있다? 없다?

백중은 영가님들을 위해 천도재를 지내는 불교의 명절이다. 천도재를 지내는 것은 돌아가신 영가님이 실재한다고 전제하는 바, 영혼의 유무와 귀신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있다고 믿자니 찝찝하고 없다고 치부하자니 무언가 미덥지 않은 ‘귀신’의 존재!
귀신은 있다, 없다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마음 속에서 만들어낸 귀신이라는 상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 모든 것은 일체유심조. 마음이 만들어내고 마음이 상을 키운다.

의학적 죽음, 현실적 죽음

백중 기간에 생각하는 삶과 죽음.
의학적으로는 장기 이상, 심폐사, 세포사 등 일정 부위를 기준으로 죽음을 판단한다. 반면 우리가 인식하는 죽음의 순간은 다르다. 육신의 모습이 살아있는 것이 아님을 본능적으로 느낄 수 있다.
오늘의 화두는 이런 것이다.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구분짓는 것은 무엇인가? 왜 우리는 영혼과 육신이 분리되면 죽은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언젠가는 죽을 송장을 사람이게끔, 살아있게끔 끌고가는 것은 무엇인가?

극락은 존재하는가?

극락이란 무엇인가? 여기에 실제하는 세계인가? 예수님을 믿으면 천국에 간다는 것처럼 부처님을 믿으면 극락에 갈 수 있는가?
극락은 “아미타부처님을 10번만 찾으면 서방정토에 나게 하겠다”는 본원력을 가진 아미타부처님이 계시는 곳이자,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정토사상은 염불을 통해 깨달음을 얻겠다는 자기 확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