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⑧ 집성제 (集聖諦) 4  욕계, 색계, 무색계

십이연기를 이해하는 몇 가지 질문들. 윤회와 사후세계는 같은 말일까? 다른 말일까? 일반 중생들은 죽으면 어느 곳에 나는지 그 장소[사후세계]를 궁금해 하지만, 지은 업에 따라 죽은 후 다시 태어나는 장소가 바뀐다는 개념을 이해하면 윤회의 굴레 속에서 어떻게 수행해야 할지에 대한 인식이 가능해진다. 부처님은 윤회의 세계를 욕계, 색계, 무색계로 구분했다. 욕망의 세계인 욕계는 중생들이 육도윤회하는 세계이고, 욕망은 털어버렸으나 아직 있다 없다의 집착에서 벗어나지 못한 자는 색계에 태어난다. 욕망과 집착을 끊어냈으나 아직 무명을 완전히 소멸시키지 못한 자가 태어나는 곳이 무색계이다. 이들 세계는 현대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지만 없다고 단정할 수도 없는 세계이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⑦ – 집성제 3 십이연기 중 과보(果報)

불교에서의 윤회는 당구와 같다. 한 공이 다른 공을 때리면서 한 공에는 정지가 다른 공에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처럼 삶을 지속하는 주체적 존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원인과 조건에 따라 일어나고 멸할 뿐이다. 당구공처럼 우리의 인생에서 전생과 이생을 연결하는 것은 무의식이라 하는 마음이다. 마음이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흘러가는 가운데 과거의 원인으로 현재의 결과가 생겨난다. 그것이 십이연기를 관통하는 과보의 개념이다. 무명과 행은 과거 생이며, 과거생의 과보로써 현재생에 받는 것이 식, 명색, 육처, 촉, 수이다. 이것이 작동하는 기제는 과보로 이미 결정된 것으로 바꿀 수 없으나, 애와 취는 현재 생에서 수행을 통해 다듬어 갈 수 있는 것으로 그 과보는 아직 결정된 것이 아니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⑥ – 집성제2 십이연기의 열두가지 요소

십이연기의 요소를 역관으로 살펴보자. 일체의 괴로움인 노사는 태어남[생]을 조건으로 생긴다. 태어남은 존재[유]를 조건으로 생기는데, 존재는 과보를 만들어내는 힘으로써의 업이자 업의 결과로써 만들어진 존재를 포함한다. 이렇게 업과 업의 결과물로 만들어진 존재는 집착[취]을 원인으로 생겨난다. 집착 가운데 가장 강한 집착은 내가 있다는 생각에 대한 집착 즉 유신견이며, 이러한 취착은 갈애에서 생겨난다. 집성제는 곧 십이연기이며 십이연기는 곧 갈애이다. 갈애와 십이연기를 모르는 것이 무명이다. 중생은 이러한 무명과 갈애의 끊임없는 수레바퀴 속에서, 그 원인과 결과로써 이 전생과 현생과 미래 생을 만들어내는 윤회를 반복한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⑤ – 집성제는 십이연기(十二緣起)

집성제는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이다. 괴로움이 일어나는 것은 갈애 때문이며 갈애가 윤회를 만든다. 괴로움의 원인인 갈애를 세세하게 구분하여 제시한 것이 십이연기이다. 십이연기는 연기법과 같은 것이 아니라 연기법의 일부이며, 열두 가지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아는 것보다 각 구성요소간 연결되어지는 관계성을 보다 깊게 살펴야 한다. 십이연기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근본 원인을 찾아들어가는 과정이며, 이를 이해하는 데에는 역관으로 추적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Read more

불교교리

사성제와 팔정도 ④ – 사성제의 구조 3

고성제의 중심인 ‘괴로움’을 불교에서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괴로움의 반대에 놓여 있는 행복을 들여다 봄으로써 괴로움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행복을 느낌으로 인식한다. 감각적으로 즐거운 느낌, 충족되는 듯한 느낌, 좋은 느낌 등이다. 반면 부처님은 감각적으로 느끼는 괴로움, 감각정으로 느끼는 즐거움,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 모두를 괴로움이라고 말한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범주의 행복이 불교적 관점에서는 괴로움에 해당하는 것이다. 감각에 의지하여 느끼는 감정들은 조건이 바뀌면 변화한다. 조건에 의지하는 것은 무상하고 무상한 것은 불완전한 것이고 불완전한 것은 괴로움이다. 세간에서 생각하는 행복조차도 무상한 것이고 괴로운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지점이 바로 고성제, 그리고 수행의 출발점이다.
Read more
1235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