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전에 3

불교에서 말하는 ‘죄’는 탐진치 삼독이다. 내가 무엇인지 몰라서 집착하고 화를 낸다. 탐욕과 분노는 나를 제대로 모르는 어리석음에서 비롯된다.
무명으로 인한 악업에는 반드시 과보가 따른다. 모르고 지은 죄, 알고도 지은 죄를 없애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죄의 실체가 본래 없다는 것을 제대로 알면 된다. 죄는 마음 따라 생겨날 뿐 그 자체로써 자성을 가진 것이 아니다.
죄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것을 제대로 이해한 후에는 참회를 해야 한다. 이해와 참회가 함께 갈 때 비로소 죄가 사라진다. 참회한다는 것은 내 마음을 닦는 수행을 한다는 것이다. 수행과 참회는 같은 말이다.

#무아, 수행, 알아차림, 죽음, 참회

백중맞이 <영가전에> 특강 3

육신을 가진자는 그림자가 따르듯이

일생동안 살다보면 죄없다고 말못하리

이승저승 오가면서 탐진치를 쌓은죄업

대원력을 발하여서 생사윤회 벗어나리

죄의실체 본래없어 마음따라 생겨나니

마음씀이 없어질때 죄업역시 사라지네

죄란생각 없어지고 마음또한 텅비워서

무념처에 도달하면 참회했다 말하리라

한마음이 청정하면 오세계가 청정하니

모든업장 참회하여 청정으로 돌아가면

어느곳에 태어나도 어떤몸을 받더라도

영가님이 가시는길 광명으로 가득하리

이 구절은 죄업(罪業)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육신이 있는 생명체는 반드시 그림자가 있게 마련입니다. 마찬가지로 마음이 있다고 하면 반드시 그 마음에는 죄가 따릅니다. 죄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윤리적 차원의 죄, 법적 제재를 받는 죄

예를 들어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서 운동을 해야지’라고 다짐했는데 계속 못 지키는 경우에 그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죄를 지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죄를 지은 것이 아니라 의지가 약한 것일 뿐입니다.

가령 이 사람이 연로한 부모를 부양하기 힘들어서 요양병원에 입원을 시켰다고 합시다. 그 후에 ‘이번 주엔 찾아뵈어야지’, ‘내일은 가봐야지’ 하면서 한 번도 가보지 않았다면 스스로 죄의식을 느낄 것입니다. 이런 경우 법적으로 처벌을 받는 죄는 아니지만 자기 스스로의 윤리적, 도덕적 차원에서의 죄를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이 사람이 회사에서 재정 파트를 담당하고 있다고 할 때, 개인적으로 급전이 필요해 회사 돈을 끌어다 쓰고는 아직 갚지 못했다고 합시다. 이 사실이 알려진다면 법적으로 처벌받을 것이고, 아직 알려지지 않았더라도 마음속으로 두려워할 것입니다.

이처럼 윤리적 차원의 죄가 있고 법적인 차원의 죄가 있습니다. 이런 죄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회생활을 하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범하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영가전에>에서 말하는 죄는 이 같은 윤리적, 법적인 차원의 죄가 아닙니다.

불교의 죄: 내가 무엇인지 제대로 모르는 어리석음

불교에서는 여러 생에 윤회를 하면서 탐진치를 쌓은 것을 죄라고 합니다. 탐(貪)은 욕심내고 집착하는 것입니다. 내 것이라는 생각, 내 생각이 옳다는 생각, 애착하는 것입니다. 진(嗔)이란 화를 낸다는 뜻입니다. 화를 왜 냅니까? 내 뜻대로 되지 않으니까 화를 냅니다. 세상 일이 내 뜻대로 되면 화 낼 일이 없습니다.

탐욕과 분노는 모두 치(痴), 어리석음에서 나옵니다. 어리석다는 것은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무엇을 제대로 알지 못합니까? 나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합니다. 사실은 나라고 할 것이 없는데 내가 있다고 철석같이 믿는 그 마음이 바로 어리석음입니다.

<영가전에>에서 말하는 ‘죄업’이란 내가 무엇인지 제대로 모르는 것입니다. 이 말대로라면 우리는 하루 24시간, 숨 쉬는 매 순간순간 죄를 짓고 있습니다. 죄업의 뿌리는 무명(無明)에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내가 있다’라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것을 고치기 위해서 노력한다면 그것은 선한 업을 쌓는 것이므로 죄가 아닙니다. 반면 어리석은 마음에 취해서 탐착하고 애착하고 집착하고 분노하면 그것이 나에게 업장으로 쌓입니다. 무명으로 인한 악업을 지으면 반드시 과보가 따릅니다. 이처럼 불교에서 말하는 죄악은 법적인 죄, 도덕적인 죄와는 범주가 다릅니다.

그렇다면 이미 악업을 지어서 나에게 많은 과보가 쌓여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부터는 정신을 바짝 차리고 악업을 짓지 않고 선업을 짓겠다고 다짐한다 하더라도,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쌓인 악업의 과보는 어떻게 할 것이냐의 문제가 남습니다. 악업에 대한 과보, 즉 죄를 없애기 위한 방법을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음씀이 없어지면 죄도 사라진다’

이는 죄의 실체가 본래 없기 때문입니다. ‘죄의 실체가 없다’는 말을 부연 설명한 것이 ‘마음따라 생겨난다’는 구절입니다.

실체가 없다는 말은 예를 들면 이런 것입니다. 죄라는 것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을 수 있어 내 죄업의 은행이 있다면 선업과 악업에 따라 죄의 잔고가 줄어들고 늘어날 것입니다. 그런데 업이라는 것이 과연 그러한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나는 죄를 지은 게 없는데 저 사람이 나를 화나게 만들어서 저 사람의 분노가 나에게 들어와 죄가 되었습니까? 아닙니다. 죄에는 구체적인 실체가 없습니다. 실체가 없으므로 홀로 존재하지 못하고 홀로 존재하지 못하므로 항상 마음을 따라다닙니다.

때문에 마음 따라 생기고 마음 따라 없어집니다. 실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죄는 마음먹기에 달렸습니다. 물론 죄에 실체가 없기에 마음먹기에 달렸다고 해서 법적으로, 윤리적으로 지은 죄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공금횡령을 한다면 법의 처벌을 받을 것이고 윤리적인 죄를 지었다면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습니다.

악업을 없애려면 참회를 하라

진정으로 내가 지은 과보를 없애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죄란 생각 없어지고 마음 또한 텅 비어서 무념처에 도달하면 참회했다 말하리라’.

바로 참회를 하면됩니다. 참회를 한다고 해서 ‘내가 죽일 놈이야’라고 쥐어박으며 매일 108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기학대에 다름 아닙니다. 참회를 하는 마음가짐을 제대로 가져야 합니다.

무엇보다 먼저 죄에는 실체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불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열반의 성취입니다. 열반의 성취는 무명을 깨치는 것입니다. 무명을 깨치는 것은 내 안의 모든 번뇌를 완전하게 소멸시키는 것입니다. 무명을 깨친다는 말은 제대로 안다는 것입니다.

‘나라고 하는 것이 사실은 없다’, ‘나라고 할만한 것이 사실은 없다’, ‘그러므로 욕심을 낼 일도 없으며 화를 낼 일도 없다’ 이런 마음을 가지고 참회를 해야 올바른 참회입니다. 참회를 하기 전에 무명에 대한 올바른 통찰을 하고 그것을 토대로 참회해야 합니다. 올바른 통찰이란 다름 아니라 죄 역시 조건 생 조건 멸이라는 것을 바로 아는 것입니다.

탐진치 삼독에 푹 빠져서 하는 행동이 죄이며, 그 죄의 뿌리를 없애겠다고 생각한다면 죄 역시도 실체가 없다는 것을 통찰하고 참회해야 합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선업 즉 착한 행동은 번뇌를 소멸시키고 무명을 깨쳐서 열반을 증득하기 위한 행동입니다. 그 반대되는 행동 즉 탐진치를 계속 키우는 것은 악업이며 죄를 받는 행동입니다. 그러므로 참회를 할 때는 열반을 성취하겠다는 각오, 대원력을 가지고 참회해야 합니다.

생각하고 참회할 것, 이해하고 수행할 것

여기에서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죄업의 실체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됩니다. 그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반드시 ‘참회’를 해야 합니다. 열반이 무엇인지 ‘이해한다’고 해서 부처가 되고 보살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생각으로만 이해한다고 해서 깨닫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참회한다는 말은 내 마음을 닦는 수행을 말합니다. 수행을 통해서만 악업에 따른 업장을 씻어낼 수 있습니다. 업장이라는 것은 업이 나에게 가하는 장애입니다. 나는 잘 살고 싶은데 업이 나에게 장애를 줘서 힘든 것이죠. 잘 살고 싶다면,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 참회하는 마음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우리 중생들은 나도 모르게 악업을 짓고 살아요. 때문에 우리는 항상 수행하는 마음으로 참회해야 합니다. 과거에 지은 모든 악업을 씻어내겠다는 마음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그것이 올바른 수행의 자세이며 참회입니다. 수행과 참회는 같은 말입니다.

이렇듯 죄를 참회하면 마음이 청정해지고, 마음이 청정하면 온 세계가 다 청정합니다. 때문에 모든 업장을 참회해서 청정으로 돌아가면 나중에 어떤 몸을 받더라도 반드시 광명으로 가득합니다.

Previous

보살심과 중생심

영가전에 4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