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과 열반

불자와 불자 아닌 사람을 나누는 기준은 ‘원력’에 있다. 모든 사람들의 원력은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그리고 불교적 원력은 부처님의 설파한 가르침인 연기법과 공성을 지혜를 깨닫겠다는 초발심이다. 그것을 깨달아야만 완전한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믿음이다.
한편, 흔히 같은 말로 쓰이는 깨달음과 열반은 그 의미가 엄밀하게 다르다. 깨달음은 ‘안다’는 것이며, 아는 것의 깊이는 사람에 따라 수행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열반은 어떠한 지점이나 목표가 아니다. 다만 말 그대로 ‘번뇌의 불길이 완전하게 꺼진 상태’이다.
불자들은 괴로움을 벗어나겠다는 서원을 세운 사람들이다. 절에 가는 이유가 희미해졌다면, 그저 관성적으로 살아가고 있다면, 초발심을 되새김으로써 불자로써의 기준을 다시 세우자.

#깨달음, 무아, 수행, 의지

https://youtu.be/JogDPZK2Dss

불자와 비불자를 나누는 기준?

불자와 불자 아닌 사람을 무엇으로 구별할 수 있을까요? 불자는 부처님의 제자라는 뜻인데, 불자와 불자 아닌 사람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신도증이 있다고 해서 불자일까요? 불교대학을 나왔다고 해서 불자일까요? 꼬박꼬박 절에 나온다고 해서 불자인가요? 제가 볼 때는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먼 길을 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이 처음 두세 달 동안에는 이 길을 나선 이유를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마을에 당도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 인연을 맺으면서 그것에 매혹되다보면 내가 왜 이 길을 떠나왔는지 그 처음의 생각이 가물가물해집니다.

불제자인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처님의 제자로 살아야겠다고 생각한 순간이 누구에게나 있었을 것입니다. 그 순간이 있었기에 지금 이 법문을 듣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살다보니 그 때의 마음을 잊어버립니다. 도반들과 만나니까 재미있고 스님들에게 감명 깊은 이야기를 들으니까 좋고, 그런 순간순간 재미에 빠져서 지내다 보면 어떻게 해서 불제자가 되기로 결심했는가를 잊어버리는 때가 있습니다.

깨달음을 얻겠다는 원력, 초발심

이런 의미에서 볼 때 불자와 불자 아닌 사람들을 구별하는 기준은 원력인 것 같습니다. 깨달음을 얻겠다는 큰 서원을 세우는 것이 원력입니다. 이러한 원력이 있는 사람이 불제자입니다. 아무리 오래 출가생활을 했어도, 아무리 많이 절에 다녔어도 마음속에 초발심의 서원이 여전하지 않다면 그 사람은 불제자가 아니라고 단호하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것은 동물과 다르게 살아가는 데에 목표가 있기 때문입니다. 목표가 없다면 인간답지 않은 삶이고 공허한 삶입니다. 20~30대에 치열하게 살다가 40~50대가 되면 인생이 허망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삶의 목표를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가지는 모든 목표는 궁극적으로 하나를 지향합니다. 행복하게 사는 것입니다. 돈을 많이 벌고 싶고, 가족들이 건강했으면 좋겠고, 자식이 좋은 직장에 갔으면 좋겠는 것은 결국 행복하게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

행복하려면 부처님이 설파하신 가르침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영원한 행복을 가질 수 있습니다. 불교를 믿고 실천하는 이유를 모르면 매너리즘에 빠지게 됩니다. 잘못된 방향으로 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우리 불자들이 가져야 할 궁극적인 삶의 목표이자 자세는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망각하고 살기 때문에 중생의 삶을 살아갑니다. 만약 깨달음을 성취하겠다는 목표를 하루하루, 매 순간 선명하게 가지고 있다면 그 마음 하나만으로 우리는 부처와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깨달음 = 열반 ?

깨달음은 무엇일까요? 부처님 당시에 말하는 깨달음은 ‘안다’는 것입니다. ‘이해한다’는 것입니다. 방황하던 사람이 어느 순간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면, 그것이 바로 깨달음입니다. 불교의 깨달음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습니다만 무엇을 알았는가, 무엇을 정확하게 이해했는가, 바로 깨달음의 대상이 다른 것입니다.

불교에서 깨달음의 대상은 바로 부처님의 가르침이고,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은 연기와 공성입니다. 연기를 이해하면 깨닫는 것입니다. 연기법, 공성을 개인에 기준을 두면 무아입니다. 무아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깨닫는 것입니다. 간단하지요. 그런데 왜 우리가 이 간단한 것을 못 할까요? 고타마 싯다르타께서 깨달음을 성취한 직후에 고민하셨듯, 무아사상을 이해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깨달음을 얻은 후에는 이전의 나와는 완전히 다른 내가 되는 것일까요? 열반을 증득하면 한 티끌의 고통도 없이 항상 평화로운 상태가 될 것이라고 흔히 생각합니다. 부처님 당시를 돌이켜 볼 때 열반이라는 것은 다만 번뇌의 불길이 꺼진 상태입니다. 차가운 재만 남아 있기에 아무리 들쑤셔도 다시 번뇌의 불길이 일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조건에 따라서 생하고 조건에 따라서 멸한다고 하는 연기법을 이 정도 수준에서 이해하는 것도 전혀 모르는 것에 비하면 어느 정도 깨달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이 깨달은 경지는 이러한 연기법을 철저하게 이해한 경지입니다. 수행을 통해 연기법을 온몸으로 체득한 경지입니다.

예를 들어 깨달은 사람을 부처님이라고 하고,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은 열반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흔히 우리는 깨달음과 열반을 같은 말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사실 깨달음은 그 폭이 넓으나 열반은 궁극의 깨달음을 얻었을 때만 체득할 수 있는 경지입니다.

깨달음에는 단계가 있지만 열반은 궁극적인 것

깨달음은 연기법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내가 이해하는 수준과 정도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열반은 번뇌의 불길이 완전히 꺼진 상태를 말합니다. 열반은 지금과 다른 내가 되거나 다른 무언가를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이 상태에서 번뇌의 불길만이 완전히 꺼져버린 상태를 말합니다.

열반을 증득한다(얻는다), 열반에 이른다, 열반을 성취한다는 등의 표현을 씁니다. 열받을 얻는다고 하면 열반을 우리가 가져야 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열반에 이른다고 할 때에는 열반이 지금 내 위치와는 다른 하나의 목적지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열반을 성취한다는 것도 내 밖의 다른 목표를 성취하는 것으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열반은 목표가 아닙니다. 어떠한 지점도 아닙니다. 열반은 다만 궁극의 진리가 완전하게 적용되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열반을 이야기할 때 ‘번뇌의 불길이 완전히 꺼진 상태’라고만 이야기 하신 것입니다.

행복도 마찬가지입니다. 행복은 특정한 상태가 아닙니다. 이것이다, 저것이다, 이런 상태다, 저런 상태다 라고 표현할 때 그것은 행복의 속성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행복은 부정으로밖에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단지 ‘고통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라고요.

같은 맥락에서 열반이라는 것도 번뇌의 불길이 완전히 꺼진 상태이며, 그것이 아닌 모든 것들이 다 수행인 것입니다. 그래서 연기법이 궁극의 진리라 하는 것이며, 부처님의 연기법을 완전하게 이해했을 때 내 안의 상태가 열반의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 사후 200~300년 까지는 부처님의 모습을 한 불상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야기하는 부처님은 진리 그 자체이며, 진리를 특정한 형태로 규정하면 그 형태가 아닌 것들은 진리가 아닌 것이 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열반과 같은 이야기이지요.

불자, 괴로움을 벗어나겠다고 서원한 사람들

대낮에 성냥불을 켜면 불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이럴 때 성냥불을 가지고 놀면 자칫 손을 데기 쉽지요. 무명과 번뇌라는 것이 나에게 고통을 준다는 사실을 모르면 마치 대낮에 피운 성냥에 손을 데는 것처럼 고통을 반복하게 됩니다. 요즘 말하는 욜로, 소확행 같은 것들이 그렇습니다. 햇볕에 성냥불이 잘 보이지 않아 스스로 고통을 받고 있는 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가 스스로 불자라고 한다면 우리가 손에 성냥불을 쥐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불을 만지면 뜨겁다는 것을 안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누군가 알려줬든, 어두운 밤에 성냥을 보았든, 다양한 계기를 통해 그것을 알게 된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결심한 사람들입니다. 불이 뜨거우니까 손을 데지 않아야겠다고 말입니다.

이런 단계가 초발심을 내는 단계입니다. 부처님이 말한 연기법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고통을 겪고 있으니, 수행을 실천해서 연기법을 제대로 알아 이 뜨거운 불에서 해방되겠다는 원력을 세우는 것입니다. 초발심의 단계에서 원력에 대한 욕구와 집착이 일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깨달음에 대한 집착에 없으면 결코 깨달을 수 없습니다.

초발심으로써 진정한 행복의 기준을 세우자

이렇게 망상을 제거하고 내면을 관찰하는 수행을 하다보면 불길이 조금씩 사그라집니다. 어느 순간이 되면 불은 꺼지고 재만 남습니다. 이 상태는 연기적 사고와 수행의 습관이 몸에 밴 단계입니다. 그러나 완전히 불이 꺼진 단계는 아닙니다. 바람이 불면 재 속 불씨에서 불이 살아납니다.

속에 있는 불씨를 끄기 위해서는 익숙해진 수행을 계속 해나가야 합니다. 깨닫겠다는 집착이나 욕구 없이도, 그러한 욕구가 점점 잦아들어서 이런 욕구를 전혀 느끼지 않아도 아무런 집착 없이 공부와 수행을 진행하다보면 재 속에 있는 불씨까지 완전하게 사그라지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번뇌의 불길이 완전히 꺼진 상태, 궁극적인 평화의 상태가 오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들이 말하는 ‘인생을 행복하게 살고 싶다.’고 말을 불교적으로 바라보면 ‘나에 대한 집착’에 다름 아닙니다. 지금이라도 내 안에서 사그라지고 있는 초발심의 원력을 다시 살려야 합니다. 깨닫고 싶다는 서원을 다시 한 번 세우는 것이 우리가 진정으로 행복해지는 길입니다. 그런 마음을 항상 내려고 노력하는 것이 불자와 불자 아닌 사람을 구별하는 유일한 것입니다.

Previous

폭력과 비폭력

보리심에 대하여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