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심심한 이유는?

심심함의 정체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흔히 혼자 있을 때 “심심하고 외롭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심심함과 외로움은 다른 종류의 감정이다. 심심함은 현재 해결해야 할 목적을 상실했을 때 느끼는 감정이다. 반면 외로움은 내가 가진 애착과 집착이 해소되지 못할 때 생기는 감정이다.
심심함은 마음의 허기와 같다. 끊임 없이 외부의 대상을 받아들이는 것이 마음이 하는 일인데, 외부에서 자극이 없으니 또 다른 자극을 달라고 보채는 현상이다.
심심함을 다스리는 방법은 수행이다. 바깥으로 달려 나가려는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는 연습을 하면, 그리하여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게 되면 비로소 마음 밖에 있는 세상이 환하게 비추어 보일 것이다.

#마음, 수행, 심심함, 외로움, 지관수행

https://www.youtube.com/watch?v=R312sDT1ucU

심심함에 대한 몇 가지 질문

얼마 전 템플스테이에 온 참가자가 저에게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스님은 심심할 때 뭘 하세요?”

그런 질문은 처음 받아봐서 당시에는 만족스러운 대답을 하지 못했는데요. 참가자가 돌아간 후에는 여러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이 참가자는 부부가 함께 참여했는데요. 남편이 먼저 “사회생활을 하면서 일을 하는 데에 있어서 욕심을 덜고 싶다”는 말을 했고요. 

아내는 “퇴근 후에 분주하게 움직이는 남편을 보면 가만히 쉬고 있는 내가 이상한 사람인가?” 싶다면서 스님은 심심할 때 무얼 하느냐는 질문을 추가로 던졌습니다. 질문한 자의 의도는 실은 “우리 남편은 쓸데없이 산만하고 분주해요. 나처럼 가만히 좀 있으면 좋겠어요. 남편에게 그런 이야기 좀 해주세요.”라는 것이었을 겁니다. 질문자의 의도는 차치하고라도 이 질문은 생각할 거리가 많은 질문입니다. 

 그날 참여한 다른 사람은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며 이루고자 했던 바도 어느 정도 이뤘고 직장생활도 안정되다 보니요즘은 왜 사는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이 질문도 위의 질문과 일맥상통하는 질문입니다. 이룰 걸 다 이루고 할 일이 없을 때는 무엇을해야 하는가? 일상생활에서도 그렇습니다. 할 일을 다 하고 할 게 없으면 심심합니다. 

외로움에 대한 몇 가지 질문

인생을 살다 보면 존재의 이유를 고민하고 인생무상과 삶의 회의를 느끼는 때가 있습니다. 세상 살기 싫고 만사 귀찮고 다 때려치우고싶은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고민할 때 괜히 무겁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본질적으로는 심심한 겁니다. 

하루하루라기 보다는 전체 삶을 놓고 봤을 때 지금 특별한 목표가 없는 겁니다. 할 일이 없는 겁니다. 할 일이 없으니까 심심한 거예요. 이럴 때 ‘이렇게 사는 건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뭔가 다른 삶을 개척해야 하는 것 아닐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겁니다. 약간 같으면서도 비슷한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스님은 외롭지 않으세요?” 이 질문의 배후에도 비슷한 뿌리가 있습니다. 

남자와 여자가 만나서 뜨겁게 연애를 하다가 헤어지면 상대방의 빈자리가 너무 커서 마음이 휑합니다. 꼭 남녀간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내 옆에 항상 있던 아들이 군대를 가면서 헤어지게 되면 엄마들이 참 마음고생을 많이 하지 않습니까. 이런 게 외로움의 원인입니다. 

외로움이란 것은 있던 것이 사라지고 난 빈자리에서 오는 상실감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내가 무언가에 대해서 애착하고 있었다는겁니다. 사람이든 물건이든 짐승이든 애착하고 있던 대상이 사라져버렸을 때, 나의 집착과 애착을 해소해줄 만한 것이 없을 때 느끼는 것이 외로움입니다. 

외로움과 심심함은 혼동하기 쉽다

많은 사람들이 외로움과 심심함을 혼동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엇을 하더라도 같이 모여서 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요즘 같으면 혼술 혼밥이라는 말이 자연스럽습니다만, 당장 혼자 식당에 가서 밥을 먹거나 혼자 술을 먹으라고 하면 어딘지 모르게 어색합니다. 차를 마셔도 찻집에 몇 사람이 모여서 차를 마시지 혼자는 잘 안 마십니다. 

내가 특별히 같이 하는 것을 원했다기 보다는 원래 우리 문화가 ‘같이’의 문화였습니다. 같이 하려면 사람이 모여야 하고, 같이 하려면같이 할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현대의 생활여건은 그 조건이 충족이 되지 않습니다. 같이 뭔가를 해야 하는데 같이 할 사람이 없으니까 심심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외로움으로 착각합니다. 

‘함께 뭔가를 하다가 함께 하지 못하고 나 혼자 있으니까 외롭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잠깐이라도 혼자 있지 못합니다. 혼자 있더라도 전화를 하고 메시지를 보냅니다. 마치 옆에 사람이 있는 것 처럼요. 이런 상태는 심심한 거지 외로운 게 아닙니다. 심심함과 외로움을 잘 구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처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먼저 심심함은 목적을 상실해서 당장 할 일이 없을 때 느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내 존재의 의미나 삶의 의미가 사라진 것처럼 오해하는 것은 핀트가 어긋난 것입니다. 두 번째, 우리가 흔히 외롭다고 생각하는 감정의 많은 부분은 심심함입니다. 외로움은 내가 가진 애착과 집착의 감정이 해소되지 못할 때 생기는 감정입니다. 

심심함은 마음의 허기

허기가 지면 뭔가 먹고 싶어 합니다. 허기가 질 때 무엇을 먹으면 맛이나 영양분, 씹는 느낌 이런 것들을 다 챙길 수 없습니다. 와구와구 입에 넣기 바쁩니다. 무엇을 먹는지도 모르고 어떻게 먹는지도 모릅니다. 어느 정도 배가 차고 나서야 다른 느낌들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심심하다는 것은 육체의 허기가 아니라 마음의 허기에 가깝습니다. 마음에 허기가 져서 뭔가를 마구 하는 것입니다. 하는 것은 그나마적극적인 것이고요, 소극적으로는 무언가를 보거나 듣는 등 가만히 있으면서 외부의 것을 수용할 수 있겠습니다. 어쨌든 마음에 허기가지면 뭔가로 채워야 합니다. 이때 주변에 당장 허기를 채울 수 있을 만한 것이 없을 때, 그때 느끼는 감정이 바로 심심함입니다. 

육신에 허기가 들었을 때는 허겁지겁 정신 없이 먹는다고 했습니다. ‘정신 없이’ 먹는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에 허기가 져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마음에 무엇을 채우는 지도 모르고 마구잡이로 봅니다. 짤막하게 스쳐가는 동영상을 몇 시간이고 봅니다. 지나고 나면 무슨 내용이었는지 생각도 안 납니다. 그런데도 그냥 봅니다. 왜죠? 마음에 허기를 채우기 위해서입니다. 정신없이 허겁지겁 유튜브를 보는 겁니다. 

심심한 게 뭔지 모를 때와 알 때는 대처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심심한 것이 무엇인지 모를 때는 정신 없이 허겁지겁 텔레비전을 보고핸드폰을 합니다. 그런데 심심함이라는 것이 마음의 허기짐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마음은 대상이 없으면 ‘심심함’으로 보챈다

여러분, 마음이 무엇인가요? 내 밖에 있는 무언가를 보고 듣고 맛보고 느끼고 생각하도록 만들어진 것이 마음입니다. 마음은 마음 밖의 대상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존재합니다. 받아들인 정보를 바탕으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서 존재합니다. 

그러니까 마음이라는 것은 할 줄 아는 것이 밖의 대상을 받아들이는 것 밖에 없습니다. 계속해서 무언가를 받아들여야 하는데 받아들일만 한 대상이 없으니 허기지는 겁니다. 마음이 ‘빨리 무언가를 좀 주세요.’라고 재촉할 때 생기는 감정이 심심함입니다. 

원인을 알면 치료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마음이 밖의 무언가를 끊임없이 받아들이도록 생긴 것이라면, 마음을 훈련시켜서 밖의 대상을 받아들이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면 됩니다. 그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수행입니다. 

우리가 가끔 부딪치는 삶의 근본적인 회의, 실존적인 고민의 많은 부분은 심심해서 생기는 마음이라는 것을 알 필요가 있고요. 심심한마음은 마음에 허기가 생겼을 때 일어나서 무엇이든 바깥의 대상을 보고 듣고 느끼라고 보챕니다. 이때는 수행을 하면 됩니다. 수행은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고 이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밝게 비추는 선정과 지혜를 이루는 길입니다. 

심심함을 다스리는 방법, 수행

밖으로 달려가는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는 것이 수행의 첫 번째 목적이고요.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면 그때 비소로 마음 밖에있는 세상이 환하게 비춘다고 깨달은 사람들이 이야기 합니다. 마음을 고요하게 만드는 것은 선정이고, 환하게 비추어 보는 마음은 지혜입니다. 뭔가를 보고 뭔가를 듣는, 밖으로 향하는 마음을 중지하는 것. 그리하여 마음이 고요해지는 것. 선정과 지혜를 닦는 것이 바로 수행입니다. 

망상을 피우지 않고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있는 것을 보고 ‘좌선을 한다’고 합니다. 화두를 들고, 사마타를 한다, 위빠사나를한다는 것은 그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입니다. 

지관수행이라는 말을 흔히 합니다. 그칠 지(止)에 볼 관(觀)을 씁니다. 그친다는 말은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 맡고 생각하는 그것을 중지한다는 겁니다. 그친 상태로 세상을 보는 겁니다. 

심심하지 않기 위해서 수행합니다. 선방 수행하는 스님들은 하루 10시간씩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어도 전혀 심심하지가않습니다. 그런데 일반인들은 10분만 앉아 있어도 몸을 주체를 못 합니다. 수행력의 차이입니다.

“스님은 심심할 때 뭘 하세요?”라는 질문으로 오늘의 법문을 시작했습니다. 수행을 열심히 하면 심심함과 거리가 멀어진다는 결론을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evious

[길따라절따라] 서산 마애여래삼존불을 친견하다

빛고을 광주는 극락이다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