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절간에서 생각하는 사찰의 본질

2020년 봄, 코로나19 방역 지침으로 모든 법회와 행사를 취소했다. 그야말로 텅 빈 절간인 증심사에서 사찰의 본질을 생각한다.
사찰은 수행하고 참배하는 곳이다. 왜 불자들은 수행하고 참배하는가?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오욕과 탐진치와 같은 번뇌에서 벗어나 행복한 마음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수행이다.
절에 오는 것, 오는 행위보다 더욱 중요한 본질은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 하는 노력이다. 빨리 절에 사람들이 돌아오기를 바라기에 앞서, 당신의 마음이 지금 건강한지, 따뜻한 질문을 건넨다.

#공동체, 기도, 나홀로, 수행, 종교

텅 빈 절간에서 건네는 질문

코로나19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종단 방침에 따라서 4월 5일까지 모든 법회와 행사를 취소했습니다만 너무나 긴 시간동안 신도분들을 만나지 못하는 탓에 온라인을 통해 인사드리고자 유튜브 온라인법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사람들이 모이던 절에 사람이 모일 수 없게 된 오늘, 사찰의 본질에 대해서 그리고 절이란 게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볼까 합니다.

며칠 전 SNS에 글을 하나 올렸습니다. 지금 증심사는 신도분들이 없어서 텅 빈 절간 같은데 여러분들은 어떤 마음으로 절에 오십니까? 마음이 어떨 때 절에 오십니까? 라는 글이었습니다. 그걸 올리고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까 저도 잘 모르겠는 겁니다. 절이 도대체 무엇인지요.

혼자서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까 작년에 다녀온 미얀미 성지순례가 떠올랐습니다. 불교의 모습이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있는 미얀마의 불교가 우리나라와 다른 점 중 하나는 부처님을 참배하는 사원과 스님들이 수행하는 승원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부처님 당시의 기원정사나 죽림정사 같은 절도 부처님과 부처님들의 제자들이 모여서 수행했던 장소라는 점에서 승원에 가까웠을 것입니다.

절, 수행하고 참배하는 곳

우리나라를 비롯한 극동아시아는 승원과 사원이 혼재한 형태입니다. 실제로 일반 백과사전에서 사찰을 정의한 것을 보면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도를 닦고 불법을 펴며 불교신도들이 예배를 위해 모이는 장소’라고 설명합니다. 이 말을 자세히 보면 두 가지로 나뉩니다. 스님이 불법을 닦고 불법을 펴는 곳이라는 측면이 하나 있고 신도들이 예배하는 곳이라는 다른 측면이 있습니다. 즉 절이라는 곳은 수행하고 참배하는 곳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절이 텅 비었습니다. 절만 텅 빈 게 아닙니다. 극장도 그렇고 공연도 그렇습니다. 예전에는 극장이 아닌 곳에서 영화를 본다는 생각 자체를 못했는데 요즘은 아주 자연스럽게 극장이 아닌 곳에서도 여러 매체를 통해 영화를 봅니다. 콘서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원하면 아무 때나 아무 곳에서 들을 수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새로운 일상입니다. 코로나19가 그런 현실을 더 빨리 더 급격하게 바꾸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금까지는 우리가 부처님께 참배를 하고 수행을 하려면 절에 가야했는데 요즘은 굳이 절에 오지 않더라도 혼자서도 수행하고 혼자서도 참배하고 절 아닌 곳에 모여 수행하고 참배하는 흐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 라이브법회도 같은 맥락입니다. 절에 오지 않고도 부처님께 예배하는 하나의 방법이 된 겁니다. 극장에 갈 수 없으니까 영화를 보는 다양한 방법들이 생겨나듯이 절에 갈 수 없을 때 부처님께 참배하고 수행을 하는 다양한 방법들 또한 생겨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이제는 ‘이 시점에서의’ 사찰이 무엇인지를 깊이 생각하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극장이 영화를 보는 유일한 방식이라 고집하면서 극장 외의 방식으로 영화를 배급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하여 큰 흐름을 거스를 수 없듯이, 우리는 ‘불자라면 절에 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야 하는 시점에 와있습니다. 그러자면 다시 한 번 본인 스스로에게 질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절이라는 곳은 도대체 뭘 하는 곳일까? 사찰의 본질은 뭘까?

본질과 숫자, 그 너머의 것들

사찰의 본질이 ‘수행하는 곳’이라면 수행에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베이커리 중에서도 식빵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빵집이 있듯이 사찰의 본질인 수행에만 충실하겠다 하면서 무슨 선원이나 무슨 명상센터라는 이름을 붙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1,500년 이상 이 나라에 이어져오면서 생겨난 불교문화와 불교예술 같은 것들은 완전히 배제될 것입니다. 본질에 충실하자고 하면서 그동안 사찰이 담고 있던 것들을 놓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두 번째, 절이 잘 되려면 신도들이 많이 와야 한다고 우리는 상식적으로 생각합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논리입니다. 방송국의 피디가 제일 목매달고 관심을 가지는 것은 프로그램의 내용이 아니라 시청률입니다. 내가 만드는 이 프로그램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보는가가 좋은 프로그램의 척도라고 생각합니다. 정치하는 사람들은 지지율을 최고로 치고 정책은 다음 문제입니다. 회사는 어떻습니까? 영업실적이 최우선입니다. 신도들이 많아 와야 하는데 우리 절이 텅 비어서 걱정이라는 것은 이들과 똑같은 논리입니다. 이렇게 모든 것을 양적으로만 생각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첫 번째는 뿌리만 중시해서 줄기와 가지를 쳐버리는 오류를 말했고 두 번째는 양적으로 계량적으로만 분석하고 재단하는 오류에 대해서 이야기 했습니다.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다시 남습니다.

본질의 본질, 왜 수행하고 참배하는가?

극장 이야기로 돌아가 봅시다. 사람들은 극장을 가지 않고도 이런저런 형식으로 영화를 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영화’라고 할 때 극장의 큰 화면에서 필름을 돌려서 보여주는 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사실 영화라는 것은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는 수천 년 동안 인류역사와 함께했습니다.

영화는 결국 이야기를 풀어내는 하나의 방식에 불과합니다. 이렇게 접근하면 이야기를 보고 듣고 즐기는 방법은 그야말로 무궁무진합니다. 특히나 현대와 같이 기술이 발달한 시대에서 그 방법은 훨씬 더 폭넓고 다양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사찰의 본질이 수행하고 참배하는 것이라고 할 때, 왜 수행을 하고 참배를 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수행을 하는 이유는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마음이 병든 상태,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인 상태, 희로애락애오욕 같은 거친 번뇌에서 벗어나고자 함입니다. 이것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마음을 영원히 행복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로 수행입니다.

왜 부처님께 참배를 합니까? 내 자신을 바로잡기 위해서입니다. 내 자신을 다그치기 위해서입니다. 내가 가장 존경하는 부처님을 통해서 내 자신을 제대로 세우기 위해서 우리는 부처님께 참배를 하고 예불을 하고 기도를 합니다. 수행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 부처님처럼 살기 위해서 예불을 하는 겁니다.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절에 온다

여러분은 어떤 마음일 때 절에 오십니까 라는 SNS의 질문에 어떤 분들은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기본적인 기조가 이런 겁니다. 힘들고 지칠 때 절에 가서 부처님을 뵈면 힘이 나고 마음의 위로를 얻는다고요.

이 말을 단순화 시키면 내 마음이 건강하지 못할 때 절에 가서 내 마음의 건강을 되찾는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미얀마의 불자들은 출근할 때 사원에 들러서 부처님께 인사드리고 저녁에 퇴근할 때 사원을 들러서 공양을 올리는 것이 하루의 일상입니다. 평소에 내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 중 하나가 절에 가 부처님께 참배하는 것입니다.

마음이 병들었을 때 절을 찾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오히려 평소에 마음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 때에 부지런히 절을 찾아서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올바른 불자의 자세입니다.

이렇게 생각이 이어지고 보니 제가 여러분들에게 질문을 잘 못 했습니다. 이렇게 질문했어야 합니다. 여러분들은 항상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계십니까? 여러분들은 마음 건강을 잘 챙기기 위해서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라고 말입니다. 더 근본적으로는 ‘저를 비롯한 스님들은 우리 신도분들이 항상 마음건강을 잘 챙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이야기해야 사실 맞는 말이었을 것입니다.

절에 오는 것보다 중요한 것, 당신의 마음

절간이 비고 안 비고, 절이 절간 같고 아니고는 중요한 일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마음건강을 챙기기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노력을 하면 그 곳이 절이고 그 시간이 수행하는 시간입니다. 그렇다고 절이 필요없다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혼자서는 힘들기 때문에 함께 서로 격려하며 수행하는 것이며 그런 장이 바로 사찰입니다.

아무리 마음으로 부처님께 귀의한다고 하지만 장엄한 불상 앞에서 정성스럽게 예불하는 의식이 필요한 것이 우리들의 중생심입니다. 그래서 법당의 부처님이 중생들에게 필요한 것입니다.

저처럼 승복을 입고 있는 스님들이 할 일은 여러분들이 계시는 장소에서 항상 마음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고 그러한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을 한다면 지금처럼 절간이 텅 비어있다고 해서 마음이 불안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우리들이 평소에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절은 수행하는 불자들로 가득할 것입니다.

신도분들이 가끔 저를 보면 ‘스님 빨리 절에 가고 싶어요’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러나 절에 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금 이 순간 내 마음은 건강한가라고 자신에게 물어보는 것입니다.

여러분, 지금 여러분의 마음은 건강합니까?

Previous

코로나19를 대하는 불자의 자세

코로나19 이후, 어떻게 살 것인가?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