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불교

다시 생각하는 ‘개미와 베짱이’

이솝우화 <개미와 베짱이>

오늘은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이솝우화 <개미와 베짱이>를 불교식으로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늦가을 어느 화창한 날 개미 한 무리가 따뜻한 햇살을 받으며 여름에 모아두었던 곡식을 말리고 있습니다. 그 때 베짱이 한 마리가 옆구리에 바이올린을 끼고 나타나서 먹을 것을 조금 달라고 구걸했습니다. 그 모습에 개미들은 놀라며 말했습니다.

“말도 안 돼! 겨울에 먹을 것을 모아두지 않았다고요? 지난여름에 도대체 뭘 했나요?”

그 말에 베짱이는 투덜거렸습니다.

“음식 부스러기 따위를 모아둘 시간이 없었어요. 노래 부르고 노느라 바빴거든요. 그런데 정신을 차리고 보니 벌써 여름이 가버렸네요.”

개미들은 어이없다는 표정을 지으며 말했습니다.

“먹이 모을 틈도 없이 노래나 부르고 놀았다고요? 그럼 이제 춤을 출 차례네요?”

그러고는 베짱이를 무시하고서 일을 계속 했습니다.

가장 원전에 가까운 버전의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내용은 다른 것이 없습니다. 열심히 일을 해서 겨울에 먹을 식량을 미리미리 준비를 해야 한다, 베짱이처럼 놀고먹으면 나중에 힘들어진다, 이런 이야기입니다. 교훈으로는 ‘놀 때는 놀고 일할 때는 일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현대사회 개미와 베짱이들… 직장인, 욜로족, 파이어족,

<개미와 베짱이>가 요즘 우리 사회 정서하고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닙니다. 요즘에는 개미 같은 베짱이도 많고 자기가 베짱이인 줄 알고 있는 개미도 많습니다.

개미 같은 베짱이는 어떤 사람입니까? 영화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떠올려봅시다. 이 사람들은 예술 하는 사람들이니까 베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일은 개미보다 훨씬 더 열심히 합니다. 베짱이는 베짱이인데 일만 하는 겁니다.

반대로 스스로를 베짱이라고 생각하는 개미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프니까 청춘이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등의 이야기로 일을 즐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너는 개미가 아니고 베짱이라고 언론에서 주입시킵니다. 사실은 개미인데도 말입니다.

욜로족도 있습니다. You Only Live Once(인생은 한 번 뿐)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인데, 지금 인생을 즐기자는 주의입니다. 이들은 돈이 조금 생기면 여행을 가고, 명품을 사고, 차를 뽑습니다. 한심하게 생각하는 분들도 있지만 무조건 정신상태가 잘못 됐다고 탓할 수는 없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그러는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미래가 없기 때문입니다. 미래가 없으니까 돈을 모을 필요가 없습니다. 조금 모았다 싶으면 집값은 확 뛰어버립니다. 평생 내 집 하나 장만하지도 못하는데 돈 모아 뭣하느냐 이겁니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 인생을 즐기자는 것, 베짱이에 가까운 유형입니다.

정반대의 생활패턴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파이어족이라고 합니다.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재정은 독립하고 은퇴는 빨리 하자)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말입니다. 젊어서 열심히 벌고 빨리 은퇴해서 노년에 인생을 즐기면서 살자. 이들은 개미에 가까운 것 같기는 합니다.

‘현재에 충실하라’라는 이야기가 자기계발서 등에 간혹 등장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스피노자가 한 말이 있습니다.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오늘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내일은 내일이고 어제는 어제고 중요한 것은 지금 현재라는 것입니다. 좋은 쪽으로 해석하면 내일 네가 어떻게 될지라도 지금 현재를 열심히 살라는 것일 수도 있고, 베짱이 식으로 해석하자면 내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현재를 즐기라는 말로 해석할 수도 있겠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 우리는 어디에 살고 있는가?

그렇다면 불교적으로 <개미와 베짱이>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개미처럼 지금 힘들더라도 앞날을 위해 고통을 감수하면서 사는 게 옳은 것입니까, 그렇지 않으면 미래는 중요하지 않고 베짱이식으로 현재를 사는 게 옳은 것입니까?

현재가 중요한가 미래가 중요한가, 이 질문에 대해서 부처님은 어떻게 대답을 했을까요?

예를 들어 내가 증심사 입구에 있는 카페에서 누구를 만나기로 했는데 시간이 늦어서 헐레벌떡 뛰어가고 있습니다. 지금 뛰는 이유는 과거에 한 약속 때문입니다. 지금 나의 행동을 과거의 약속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내가 지금 그 사람을 만나려고 하는 이유는 그 사람이 나의 미래에 무언가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래가 나의 현재 속에 들어와 있습니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과거는 이미 지나가서 지금 여기에는 없는 일이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먼 미래에 각각 따로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과거, 현재, 미래는 지금 여기에 같이 있습니다. 현재 속에 과거와 미래가 상호교차하면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과거와 미래 모두가 지금 내 행동을 지배하며 지금의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만약 과거라는 게 따로 존재하고 현재는 지금 이순간이고 다가오지 않은 미래가 존재한다고 한다면, 과연 현재 안에 과거와 미래가 들어올 수 있을까요? 그럴 수 없을 겁니다. 이렇게 생각하다보면 과거나 미래가 실제로 존재하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금강경>에 보면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과거심 불가득 현재심 불가득 미래심 불가득.’ 과거의 마음은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 이 말은 과거와 현재 미래 모두 내가 취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 우리는 어디에 살 수 있는가?

이와 관련한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금강경>을 공부해서 누구보다 잘 안다는 자부심이 넘치는 스님이 남쪽 어디에 대단한 스님이 산다는 이야기를 듣고 법거량을 하기 위해서 나섭니다. 남쪽마을에 도착한 스님이 떡을 파는 할머니에게 떡 값을 물어보자 할머니가 하는 말이, “당신은 당신의 마음을 어디다 찍었습니까?” 라고 합니다.

점심(點心)이라는 것은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것입니다. 이 스님이 “그게 아니라…”라고 하자 할머니의 대꾸가 더욱 가관입니다. “<금강경>에는 과거심도 불가득이요 현재심도 불가득이요 미래심도 불가득이라는데 당신의 마음은 어디에 점을 찍었습니까?” 그러자 그 스님은 ‘동네 할머니도 저 정도 수준인데 나는 도저히 해볼 수가 없겠구나’ 하고 꼬리를 내렸다는 일화입니다.

<반야경>에도 이런 구절이 나옵니다. ‘과거의 법에 대하여 법은 지나갔다, 라고 생각하는 것은 집착이다.’ 여기서 나오는 법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있다 없다 할 때 있는 것, 그것을 법이라고 합니다.

즉 미래의 존재에 대하여 “존재하는 것은 아직 오지 않았다”라고 생각하는 것도 집착이며, 지금 여기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 “지금 여기에 존재한다”라고 생각하는 것도 집착이라는 것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 그런 건 사실 없는데 네가 집착을 하여 과거다, 현재다, 미래다라고 이야기를 한다는 것입니다.

현재도 과거도 미래도 없다

여러분. 지금 현재를 손으로 가리킬 수 있습니까? ‘지금은 바로 지금이다.’라고 말하는 순간 그 지금은 지금입니까 과거입니까? 이미 말하는 순간 지나가버렸습니다. 지금 이 순간을 아무리 딱 집어내려고 해도 집어낼 수가 없습니다. 그건 부처님도 못합니다.

현재가 없다는 말은 이미 지나간 현재인 과거도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 현재가 없다면 아직 오지 않은 현재인 미래도 없는 겁니다. 그러니까 실제 세계에서 과거, 현재,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과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엄밀하게 말하면 내 머릿속에 있는 기억입니다. 어떤 순간에 대한 기억이 과거입니다. 미래는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상상, 바람, 꿈, 희망 이런 것입니다.

현재라는 것 역시 규정할 수 없으니 없는 것입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과거, 현재, 미래 이런 것은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알 수 없으나 뭔가가 있다고 내가 생각할 뿐입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현재가 있고 과거가 있고 미래가 있다고 생각합니까? 그것은 현재를 규정하고 싶어 하고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잘못된 생각을 불교에서는 무명에서 비롯됐다고 합니다. 내가 있다는 착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시간이 있다는 착각도 무명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점은 없으나 행위는 있다

누군가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과거도 없고 현재도 없고 미래도 없으면 막 살아도 되겠다고 말입니다. 굳이 존재하지도 않는 미래를 위해 지금의 고통을 감내할 필요가 있겠냐는 것입니다. 그러나 잘 생각해봅시다.

지금 현재는 없지만 지금 현재라고 말하는 그 순간에 뭔가를 하는 행위는 있습니다. 내가 누군가를 만나고 법문을 듣는다는 행위는 분명히 있습니다. 다만 그것을 고정시키고 규정할 수 없다 뿐이지, 중요한 것은 무언가를 하는 것 그 행위입니다.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도 그렇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는 내가 마음으로 만들어낸 하나의 개념이라는 것을 스피노자가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이지 지나간 과거에 어떤 생각을 했기 때문이라거나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위해서라거나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불교에서는 항상 ‘이것’을 염두에 두고 살라고 합니다. 무엇입니까? 죽음입니다. 죽음은 항상 나와 함께 있습니다. 지금 여기에서 법문을 잘 듣고 있다가도 내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이 사람 일입니다. 내일 당장 죽을지도 모르니까 지금 이 순간 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하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과거 현재 미래가 없다 = 나라는 것이 없다 = 무아

죽음을 염두에 두라는 말은 나라는 것이 영원한 존재가 아님을 알라는 것입니다. 영원할 거라고 생각한 나는 언젠가 죽게 마련이니 나라는 것에 연연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성실하게 하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내 일이라거나 내가 하고 싶은 일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일을 하는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로마신화에 시시포스의 형벌이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죽음의 신을 속이고 삶을 연명한 시시포스에게 내려진 형벌은 커다란 바위를 산 정상까지 힘들게 굴려 올라가는 것이었습니다. 정상에 오른 바위는 반대쪽으로 굴러 떨어집니다. 그러면 다시 바위를 정상까지 힘겹게 굴려서 올라갑니다. 정상에 도달한 바위는 다시 반대쪽으로 굴러 내려갑니다. 시시포스는 평생 동안 이 형벌을 반복해야 합니다.

프랑스의 철학자 알베르 카뮈는 그의 저서 <시시포스의 신화>라는 책에서 이 이야기를 이렇게 재해석합니다. ‘이것은 형벌이 아니다. 우리에게 삶의 이유는 없다. 마치 바위를 굴리는 시시포스처럼 지금 이 순간 열심히 사는 것이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다.’

같은 맥락의 이야기를 불교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가 없다는 말은 내가 없다는 말하고 같습니다. 나는 없지만 행위가 있습니다. 하는 행위가 중요한 것이지 누가 하는 지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이렇게 표현합니다. ‘작자는 없지만 행위는 있다.’ 행위하는 사람은 없지만 행위는 존재한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인생은 마치 산을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한 발 한 발 열심히 걷다보면 어느 순간 내가 원하는 곳에 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화엄경>에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심불망취과거법 하고

역불탐착미래사 하야

불어현재유소주 하면

요달삼세실공적 하리라

마음으로 과거의 일을 취하지 않고 또한 미래의 일에 집착하지 않으며 현재의 일에도 머물지 않으면 과거 현재 미래가 모두 공적함을 깨달으리라는 뜻입니다.

개미와 베짱이, 그리고 불교적 고찰

<금강경>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는 네가 생각해낸 것이고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다고 이야기합니다. <화엄경>에서는 표현을 더욱 구체화하여 과거나 미래에 집착하지 않고 지금 현재에도 머물지 않으면 과거, 현재, 미래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2020년 새해를 맞이해서 여러분들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할 것입니다. 올해는 좀 더 열심히 살아야지 하고 각오를 다지는 유형도 있을 것이고, 새해라고 특별할 것 있는가, 그날이 그날이다 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생각은 미래에 집착하는 것이며 두 번째 생각은 현재에 머물고 있는 것입니다. 한해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를 가지고 진짜 부처님의 가르침이 무엇인가를 다시 한 번 새기는 계기로 삼아보기를 바랍니다.

Related Articl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