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승 삼보에 귀의하는 이유

불교의 의식이나 경전은 삼귀의로 시작한다. 삼귀의는 거룩한 부처님과 가르침과 승가에 귀의하겠다는 다짐이다. 귀의란 ‘피난처로 삼겠다’는 뜻이며, 이는 유일신 신앙에서 흔히 말하는 순종 혹은 복종과는 달리 나 자신과의 약속에 다름 아니다.
지혜와 자비를 동시에 구족한 부처님은 이 세상의 이치인 연기를 깨달은 분이다. 모든 것이 서로서로 의지하고 있으며 모든 것은 한몸이라는 데에서 나오는 커다란 자비심이 바로 동체대비이다. 이러한 동체대비를 낼 수 있도록 언제나 부처님을 생각하고 수행하는 것이 부처님께 귀의하는 것의 참뜻이다.
가르침에 귀의한다는 말은 ‘마음은 마치 화가와 같아 욕심에 따라 세상을 그려낸다’는 마음의 진리, 실상을 바로 본다는 말이며, 그러한 길로 인도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올바로 믿는 것이다.
승가에 귀의하는 것은 수행자 공동체를 유지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율을 지키는 것이다.이렇게 불법승 삼보에 귀의할 때 우리의 삶은 보다 행복해지고 부처님의 진리에 한걸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깨달음, 부처님, 불법승, 수행, 스님, 승가, 진리

불교는 삼귀의로 시작해서 사홍서원으로 끝납니다. 법회도 그렇고 경전의 내용도 그렇습니다. 그만큼 불교에서 삼귀의가 차지하는 역할이 크다는 것입니다.

삼귀의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귀의법 이욕존(歸依法 離慾尊: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귀의승 중중존(歸依僧 衆中尊: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귀의한다’는 산스크리트어의 본래 뜻은 ‘피난처로 간다’는 뜻인데요. 피난처로 간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전쟁이 나면 싸움과 죽음을 피해서 피난을 갑니다. 피난한다는 것을 의역하여 우리나라에서 쓰는 표현이 ‘귀의한다’임을 먼저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귀의불 양족존

우리가 귀의하는 부처님은 누구입니까? 부처는 고유명사가 아닙니다. 깨달은 분은 다부처입니다. 깨달았다, 알았다고 하는 것은 그냥안 게 아니라 온몸으로 체험하여 절실하게 알아서 나의 모든 습관 언어 생활방식이 바뀐 것입니다. 양족존이란 무엇일까요? 부처님께귀의하되 두 가지를 동시에 충족한 분에게 귀의하는 겁니다. 부처님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는 무엇일까요? 지혜와 자비입니다. 

지혜는 연기법을 깨달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는 무엇인가요? 시험공부를 열심히 해서 지식을 쌓은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 세상의 이치가 무엇인지, 불교적 표현으로는 연기를 깨달은 것입니다. 

연기법을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서로서로 의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것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고 저것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빵이라는 음식이 있을 때 그냥 빵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흙, 바람, 햇빛 같은 것들이 곡식을 길러내고 그곡식으로 빵을 만드는 것입니다. 흙, 바람, 햇빛 같은 것들도 독단으로 따로 존재하는 것은 없습니다. 

이렇게 모든 것이 서로서로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한몸입니다. 모든 것이 한몸이라는 데에서나오는 커다란 자비를 네 글자로 말하면 동체대비입니다. 연기의 도리를 깨치면 동체대비의 마음이 자동적으로 따라옵니다. 

우리가 귀의를 이야기할 때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믿음과 귀의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믿음과 불교에서의믿음이 어떻게 다른 지는 얼마 전에 증심사에서 발간한 책 <기도의 이유>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일독을 권하고요. 오늘 이 자리에서는쉽게 비교하기 위해서 유일신 신앙을 예로 들어야 하겠습니다. 

유일신 신앙에서의 믿음: 순종

기독교를 한 마디로 정의하면 창조신에 대한 믿음입니다. 창조신인 여호와가 천지를 창조했습니다. 그 천지에는 하늘도 있고 땅도 있고 풀도 있고 바람도 있으며 사람도 있습니다. 그 사람 중에는 나도 포함되어 있지요. 여호와가 나를 포함한 모든 것을 창조한 데에는이유가 있습니다. 내 삶은 이미 여호와의 뜻대로 결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원시시절부터 우리 인간들은 자연과 주종관계를 맺고 살아왔습니다. 바람이 분다, 번개가 친다, 홍수가 난다, 가뭄이 든다 하는 자연재해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힘의 관계로 따지면 자연이 인간보다 월등하게 강합니다. 그래서 원시인들은 자연을 움직이게 하는 영혼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자연의 신격화로 나아가게 됩니다. 

인간은 무시무시한 자연에 무조건 복종해야 합니다. 인간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절대 권력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관계가 종교에 그대로 적용된 것이 유일신과 창조신에 대한 복종입니다. 찬송가 중에 “여호와는 나의 목자”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신자들은 하나님의 어린 양이기 때문에 양치기가 하라는 대로 해야 합니다. 양으로써의 내 삶은 양치기의 손에 달려있습니다. 나의 절대자에게 순종하고 모든 것이 신의 뜻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유일신 신앙의 특징입니다.

신과 인간의 주종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속에서 가지는 믿음이 일반적인 종교에서 말하는 믿음입니다. 반면 불교에서는 믿음이 아니라귀의를 말합니다. 순종이나 복종이라기보다는 피난처와 같습니다. 곤경이나 위기에 처했을 때 몸을 피해가는 것입니다. 

불교의 귀의: 피난처

부처님께 귀의한다는 것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할까요? 힘들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겁니다. 그 사람이 내가 곤경에 처했을때 위로해주고 격려해줍니다. 저 사람처럼 행동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겠다는 모범을 보여주는 사람과의 관계가 바로 귀의하는 관계입니다. 이분을 존경하고 따르고, 이분을 의지하여 나의 삶과 생활방식을 바꿔가야겠다고 다짐하는 것이 피난처로 간다는 말의 진정한의미입니다.

우리가 법당에서 예불을 하는 것은 창조주인 신에게 복종하겠다는 의사표시가 아닙니다. 저도 부처님처럼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겠다는 발원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면 이러한 발원을 일상생활에서 펼쳐가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어쩌다 절에 와서 예불을하기보다 집에서 부처님을 생각하면서 하루에 한 번이라도 삼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다 크고 비싼 부처님을 근사하게 모실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나의 정성으로 대하고 귀의하는 마음을 내면 그것이 진정으로 부처님께 귀의하는 것입니다. 

귀의법 이욕존

귀의법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는 것입니다. 이욕존은 욕심을 떠난 법이라는 뜻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가르침인데 왜 욕심을떠난 것이라고 수식하는가? 주지실 차 마시는 공간에 ‘이욕실상(離慾實相)’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습니다. 돌아가신 은사스님께서 강원을 졸업하는 학인들에게 써주신 것으로, 욕심을 버리면 실상이 보인다는 뜻입니다. 

실상이란 실제 이 세상입니다. 역으로 말하자면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세상은 실제 세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내가 보는 것과 다른 실제 세상이 따로 있는데, 그 실제 세계를 보기 위해서는 욕심을 버려야 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어떻게 하면 있는 그대로의 이 세상을볼 수 있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욕심을 버리면 실제 세계를 볼 수 있다는 것은 대체 무슨 뜻인가? 현대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심리학이라는 것이 학문의 한 종류였는데, 최근 들어서는 뇌과학이라는 학문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과연 심리학이라는 것이, 마음이라는 것이 학문인가? 하는 의문도 제기됩니다. 

뇌과학에서는 이 세상을 무엇이라고 정의할까요? ‘뇌세포가 전기신호로 그려낸 그림’입니다. 우리가 보는 이 세계는 실제 세계가 아니라 뇌세포가 그린 그림이라는 것이라는 겁니다. 우리가 그림을 그릴 때는 밑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색을 칠합니다. 전기신호로 그리는것이 수채와 같은 채색이고요. 밑그림은 생존과 번식과 같은 본능이 그립니다. 본능은 다시 말하면 욕심입니다. 

이 말을 다시 정리하자면, 이 세상은 욕심에 의해서 내 마음이 만들어낸 것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이렇게 뇌과학자들이 세상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뇌과학과 화엄경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해볼까요? 우리가 무엇을 본다는 것은 눈을 통해서 엄청나게 많은 시각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빈다. 망막에 맺힌2차원 정보가 시신경을 통해서 뇌로 가는데, 갈 때는 1차원의 전기신호를 통해서 갑니다. 2차원의 정보가 1차원의 전기신호를 통해서뇌로 가면, 뇌가 받아들인 전기신호를 3차원의 그림으로 재구성하는 것이죠. 

여러분. 이 이야기가 익숙하게 들리지 않습니까? 이 내용과 똑같은 이야기가 2,000년 전에 쓰인 불교경전에 나옵니다. 화엄경 심여공화사(心如工畵師)라, 마음은 마치 화가와 같다는 말을 법문 시간에 여러 번 다루었습니다. 이미 오래 전에 뛰어난 수행자들은 현대 뇌과학이 밝혀낸 사실을 깨달았던 것입니다. 마음이 그린 그림은 실제 세계가 아니라 본능, 생존, 욕구가 바탕이 되어 그려진 것입니다. 

보고 듣고 느끼는 이 세계는 실제 세계가 아니라 욕심에 의해서 좌우되는 세계입니다. 욕심이 밑바탕에 깔려있다는 말은 보고싶은 대로, 원하는 대로 그려낸 것이라는 뜻입니다. 때문에 실제 세계를 보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욕심을 버리는 일입니다. 

우리의 눈은 카메라와 똑같습니다. 보이는 모든 것들을 망막에 맺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저에게도 앉아서 법문을 듣고 있는 보살님들, 카메라, 새, 나무, 하늘 이렇 것들이 모두 보이는데요. 이 모든 것들이 모두가 똑같은 비중으로 중요한 정보는 아닙니다. 뇌가하는 일 중 아주 큰 기능 중 하나는 받아들인 정보에서 억제해야 할 정보를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수행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인지를 할 수 없습니다. 이때 작용하는 것이 바로 욕심입니다. 

예를 들어 원숭이가 나무에 오를 때에는 열매를 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나뭇잎도 보고 가지도 보고 밑에 풍경도 보다 보면 정작중요한 열매는 따먹지 못합니다. 이런 것처럼 사람들이 보는 세계도 우리들의 욕망이 가리키는 세계인 것입니다. 

네비게이션을 믿으라! 

부처님께서는 ‘일체는 십이입처’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것이 법입니다. 귀의법 이욕존. 법은 욕심을 버렸을 때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부처님 법에 귀의한다는 말은 길을 잃었을 때 네비게이션의 안내에 따라서 가는 것과 같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한다는 것은 첫 번째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잘 아는 것이고요, 두 번째는 그 가르침이 나의 생활 속에서 실천되어야 하고요, 세 번째로는 그 가르침을 믿는 것입니다. 네비게이션에 대한 의심이 있으면 올바른 길을 갈 수 없는 것처럼요. 내가 깨닫지 못했다고 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의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서 간 끝에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우리가 불교를 공부하는 자세는 신해행증(信解行證)의 단계를 따릅니다. 1단계는 믿는 겁니다. 2단계는 나의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고요. 3단계는 수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4단계에 이르러서 진리를 증득할 수 있습니다. 

귀의승 중중존

승은 승가를 말합니다. 승가는 수행자 무리입니다. 한글로는 ‘거룩한 스님들’이라고 말하지만, 원 뜻은 수행공동체를 의미합니다. 수행공동체에 귀의한다는 말은 수행공동체가 지양하는 바 목표에 공감한다는 것을 전제합니다. 

승가가 존재하는 목표는 깨달음을 이루는 것입니다. 또한 승가가 지향하는 목표를 위해서 계율을 정하고 그 계율을 지키면서 살아갑니다. 그래야만 공동체가 유지되며, 유지되어야만 공동체의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때문에 공동체인 승가에 귀의한다는 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처님의 계율을 지킨다는 말과 같습니다. 이것은 오계를 지킨다는말이고 신구의 삼업으로 열 가지 악업을 참회한다는 말입니다. 또한 부처님의 계율을 일상적으로 지키기 위해서는 집에 부처님을 모시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매일 한 번씩 되새겨야 합니다. 이 세 가지를 지키는 것이 승가에 귀의하는 것입니다. 

어째서 불법승 삼보가 우리에게 보물인 것까요? 귀하고 값비싸고 소중한 것은 나를 행복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불법승이 보물인 이유는 불법승에 귀의하면 행복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불교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송이자 의식인 삼귀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삼귀의를 일상에서 실현하는 마음으로 삽시다. 감사합니다. 

Previous

우리는 왜 화를 낼까?

불교가 바라보는 부부의 관계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