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과 입장

공양간 옆 왕벚꽃나무가 흐드러지게 개화했다.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고 핸드폰 카메라를 들게 만든다. 과연 사진으로 찍은 왕벚꽃나무 중 가까이 찍은 것이 진짜 왕벚꽃나무일까, 멀리에서 찍은 것이 왕벚꽃나무일까?
만일 누군가 증심사에 왕벚꽃나무가 있는지 없는지 관심도 없고 알고 싶어하지도 않는다면 과연 그 사람에게 왕벚꽃나무는 존재하는 것일까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대상은 입장과 관점에 따라 모습을 달리 한다. 모습이 다른 대상 중 어떤 모습이 진짜 그 대상일까? 이런 생각을 하는 나, 저런 생각을 하는 나. 보살의 마음을 내는 나, 중생의 마음을 가진 나. 이런저런 ‘나’ 가운데 어떤 것이 진짜 나일까?
부처님은 무엇을 무엇이게끔 하는 것은 없다고 말씀하셨다. 단지 그것을 둘러싼 모든 상황들이 어느 순간 일시적으로 모여서 그것이 되었을 뿐이라고 말이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연기의 이치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곰곰이 생각해보자.

#관점, , 나는누구인가, 벚꽃, 연기, 입장

왕벚꽃나무를 찍다

벚꽃 피는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 아십니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벚꽃이 확 폈다가 그게 다 질 때쯤 산에는 신록이 물들고 그 산 중간중간 산벚꽃나무가 핑크색으로 점 찍듯 펼쳐집니다. 아주 아름다운 장면이지요. 그 산벚꽃나무가 지고 신록이 좀 짙어질 때쯤 되면 왕벚꽃나무가 핍니다. 그때가 바로 지금입니다. 

증심사 공양간 들어가는 장독대 쪽에 왕벚꽃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며칠 전에 왕벚꽃나무에 벚꽃이 활짝 핀 것이 참 아름답다 생각해서 사진을 이렇게도 찍었다가 저렇게도 찍었다가 그랬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 어떻습니까? 가까이에서 찍으면 벚꽃이 아주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그런데 몇 미터 뒤에서 찍으면 꽃모양보다는 왕벚꽃나무 전체 모양이 잘 나타나죠.  가까이에서 찍을 때하고 몇 미터 뒤에서 찍은 모습하고 다릅니다. 

찍는 거리에 따라서만 다른가?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지금이 한겨울이라면 저 나무가 왕벚꽃나무인지 무슨 나무인지 아는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나무가 한 그루 있구나.’ 라고 생각하지요. 이렇게 언제 나무를 보느냐에 따라서 그 모습이 또 다릅니다. 

사진을 트리밍하다 

아무튼 나름대로 열심히 사진을 찍은 후에 3~4미터 밖에서 찍은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에다 올리려고 보니까 공양간 처마가 살짝 나와서 보기 싫은 겁니다. ‘저걸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하면서 확대해보기도 하고 축소해보기도 하고 심지어 사진의 일부를 잘라내도 보고 했습니다. 

피사체 주변의 필요 없는 것들을 잘라내는 것을 전문용어로 트리밍(trimming)이라고 합니다. 트리밍을 왜 하냐? 사진의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내면 내가 보여주고자 하는 부분이 더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그러니까 하나의 공간 속에서 내가 담고자 하는 대상을 어떤 프레임안에 넣느냐, 혹은 공간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똑같은 벚꽃나무인데 다르게 보입니다.

오늘은 제가 여러분들에게 숙제를 하나 드리겠습니다. 제가 찍은 왕벚꽃나무 중 어떤 것이진짜 왕벚꽃나무일지 생각해보십시오. 제가 가까이에서 찍은 벚꽃나무가 진짜 벚꽃나무일까요? 아니면 3미터 떨어져서 전체가 다 나오게 찍은 벚꽃나무가 진짜 벚꽃나무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겨울에 찍은 왕벚꽃나무가 진짜 왕벚꽃나무일까요, 과연 어떤 게 진짜 왕벚꽃나무일까요?

한걸음 더 나아가서 이렇게도 생각해봅시다. 내가 왕벚꽃나무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면, 다시 말해 저기에 벚꽃나무가 있는지 없는지 관심이 없어서 찾아보지도 않았다면 그 사람에게는 왕벚꽃나무가 존재하는 걸까요, 존재하지 않는 걸까요?

결국은 내가 보고 관심을 가지고 사진을 찍는 행위 속에 벚꽃나무가 있는 겁니다. 보는 사람이 없으면 왕벚꽃나무도 없는 거예요. 봐주는 사람이 없어도 여전히 거기에 왕벚꽃나무가 있느냐? 우리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나’ 없이도 벚꽃나무는 존재하는가? 

내가 대상을 어디에서 보는가. 이 말을 달리 표현하면 입장(立場)이라고 합니다. 설 ‘립’에 마당 ‘장’. 내가 서있는 곳이 어디냐 하는 거죠. 내지는 관점(觀點)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주체가 어느 지점에 있는지에 따라서 그 대상이 달라 보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에서 보는 왕벚꽃나무가 진짜 왕벚꽃나무인가? 별 것 아닌 질문 같은데 가만히 생각을 해보면 알 수가 없습니다. 여기에서 생각을 더 발전시켜봅시다. 만약 왕벚꽃나무가 공양간에 있는지 없는지 관심조차 없고, 쳐다보지도 않는다면 과연 왕벚꽃나무가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최소한 관심이 없는 당사자에게는. 이런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을 ‘나’에게도 대입해봅시다. ‘나’는 실제로 있는 것인가? 

지금 계절이 참 놀러 다니기 좋은 봄입니다. 그런데 두어 달만 더 있으면 여름이 옵니다. 작년 여름에 비가 엄청나게 왔습니다. 거의 두 달 가까이 비만 왔어요. 그런데 요 몇 년 사이에 너무 많은 일들을 겪다 보니까 작년에 그렇게 비가 많이 와서 난리가 났던 일도 까마득한 옛날 이야기 같아요.

어떤 ‘나’가 진짜 ‘나’인가? 

작년에 비가 한창 많이 올 때 계곡을 따라 지나가면서 콸콸 흘러내리는 계곡 물을 사진으로 찍은 적이 있습니다. 너무 멋있었거든요. 그러고 며칠 뒤에 뉴스를 보니까 ‘광주천이 범람할 위기에 놓였다’는 겁니다. 그러니 걱정이 되지요. ‘아래에서 홍수가 난 저 물들이 결국은 무등산 증심사 계곡에서 내려가는 것들인데…’ 하고요. 그날 오후에 계곡물을 보니까 무서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물들이 다 광주천으로 내려가는데 저거 어쩌나.걱정이 태산이었습니다. 

이런 상상을 해봅시다. 친구랑 둘이 길을 가다가 엄청나게 내려가는 계곡물을 보고 나는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이렇게 물이 콸콸 내려가서 밑 마을에 홍수가 나면 어떡하지?” 그런데 친구가 이렇게 말합니다. “계곡물이 멋있게 흘러가면 멋있게 흘러간다고 말하면 되는 거지. 뭐 그런 걱정을 하니?” 내가 다시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계곡물이 웅장하게 내려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밑에 마을에서는 집이 물에 잠기고 도로가 잠길 수도 있어. 그렇게 되면 사람들이 얼마나 힘들지 생각해봐라.” 그러면 친구가 고개를 끄덕이면서 수긍할 수 있을 겁니다. 

장마철에 엄청나게 내려가는 계곡물을 보고 멋있다고 생각하는 내가 진짜 나인가요? 아니면 그 계곡물을 보고 광주천이 범람하는 것을 걱정하는 내가 진짜 나인가요? 아니면 처음에는 멋있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까 멋있는 게 아니고 큰일이라고 생각하는 내가 진짜 나일까요? 어떤 게 진짜 나인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나’는 지금도 있고 한 시간 전에도 있었고 하루 전, 한 달 전, 일 년 전에도 지구상에 살아있었습니다. 나는 변함이 없어요. 그런데 그런 내가 다 다릅니다. 그 중 어떤 게 진짜 나인가요? 이것이 제가 여러분들에게 오늘 내드리는 숙제입니다.

다시 왕벚꽃나무로 돌아가봅시다. 아주 이상적인 형태의 왕벚꽃나무가 있다면 그 왕벚꽃나무가 그것을 보는 사람, 날씨 , 시기, 기후, 주변의 햇빛의 양, 바람… 이런 여러가지 조건을 맺으면서 이렇게도 보였다가 저렇게도 보였다고 할 수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애시당초 왕벚꽃나무라고 하는 것은 없고 그냥 햇빛, 바람, 기온, 보는 사람, 보는 사람의 눈, 주변에 서있는 건물… 이런 모든 것들의 관계속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어느 시기의 어떤 모습을 두고 우리가 자의적으로 ‘왕벚꽃나무가 있다’라고 생각을 하는 걸까요? 

오늘 집에 돌아가셔서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계곡물을 보고 멋있다고 생각한 내가 진짠지, 걱정하는 내가 진짠지 말입니다. 아무 생각 없이 계곡물이 멋있다고 좋아한 나는 중생으로서의 나이고, 홍수를 걱정하는 나는 보살의 마음을 낸 나입니다. 내 안에 중생으로서의 나도 있고 보살로서의 나도 있는 것이죠. 부끄러워하는 나도 있고, 뻔뻔한 나도 있고요. 나는 하나 밖에 없는데. 내가 어떻게 여러가지일 수 있는지. 이런 의문을 가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고민해보는 ‘나’와 ‘연기’

마치 이런 저런 상황과 조건, 관계들이 일시적으로 모인 그 순간에 보이는 그 상태를 왕벚꽃나무라고 하듯이, 나 자신도 그런 것이 아닐까. 나 자신도 지금 이 상황에서 하고 있는 일, 좋아하는 식성, 체질, 기호, 나를 둘러싼 사람들이 합쳐진 총체로써 지금 이 순간 이런 모습으로 보이는게 아닐까? 이런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연기입니다. 연기라는 게 다른 게 아닙니다. ‘무언가가 다른 것과 관계를 맺으면서 우리에게 보여진다’는 것이 연기가 아니라요. 왕벚꽃나무를 왕벚꽃나무이게 하는 그런 것은 없다. 그럼 뭐가 있는가? 사진을 찍었을 때 그 사진에 담긴 모습을 만들어 낸 모든 상황들, 햇빛, 핸드폰 성능, 손가락, 개인 취향, 날씨, 기온… 이 모든 상황들이 어느 순간 일시적으로 딱 모여서 내가 찍은 그 사진속의 나무가 되는 겁니다. 

이것을 다른 말로 ‘세계는 사건의 총체’라고 말합니다. 뭔가 있는 것들이 모여 있는 게 아니라 이런저런 상황들이 일시적으로 모여서 어떤 뭔가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이겁니다. 자기 스스로 이 문제를 고민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연기가 이런 것이구나 하는 것은 책을 보면 다 나옵니다. 중요한 것은 연기를 일상생활에서 내가 내 자신의 생각과 고민을 통해 느끼고 체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왕벚꽃나무 한 그루를 보더라도 그 속에서 우리는 연기의 도리를 찾아야 합니다. 그것이 불자의 진정한 모습입니다. 그냥 ‘나무가 아름답네’ 사진을 찍고, 잘 나왔는지 한 번 보고, 집에 돌아가서는 핸드폰 속에 왕벚꽃나무가 있는지 없는지 기억도 없이 사는 것은 불자의 자세가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연기를 발견하려고 애쓰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지만 부처님이 말씀하신 진리가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냅니다. 

오늘 댁에 돌아가시는 길에는 제가 건넨 두 개의 질문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게 왕벚꽃나무인가? 계곡물을 보고 어떤 생각을 하는 내가 진짜 나인가?

Previous

일상 속의 중도

극락은 존재하는가?

Nex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