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선택의 기준

직업은 동전의 양면처럼, 봉사의 측면과 생계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우리 모두는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연결된 세상에서 누군지도 모르는 무수히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직업은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 그래서 열정이나 욕망보다 적성으로 직업을 고르되, 직업이 가지는 봉사의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나홀로, 봉사, 직업, 청춘

들어가는 말

반갑습니다. 추운 날씨에 정초기도 입재하는 날이라고 법당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제가 최근에 같이 차를 마시면서 이야기 나눈 분들과의 대화를 가지고 한번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주제는 일과 중생, 일과 인생입니다.

얼마 전 이십대 중반의 친구들과 차를 마셨습니다. 한 친구는 이번에 대학을 졸업하는 친구고 한 명은 특성화 고등학교, 그러니까 옛날 말로 상고를 나와서 회계사 사무실에 일찌감치 취직해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친구입니다. 회계사 사무실에 다니는 친구에게 내가 물어봤습니다. 이제 앞으로 무엇을 하고 싶느냐고요. 그 친구 대답은 지금 일도 그렇게 싫지 않고 재미도 있지만 뭔가 지금 내가 이십대 중반에서 도전의식을 가지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무언가를 해보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서 저는 두 가지 이야기를 했습니다. 첫 번째는 직업이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는 청춘과 노년의 차이에 대한 것입니다.

직업의 두 가지 측면, 봉사와 생계

흔히 직업이라고 하면 돈을 벌기 위해 직장을 다니지 않습니까. 돈을 벌어서 먹고 살기 위해서 일을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가만히 생각을 해보면 단순히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제과점이 있다고 할 때 제과점 사장은 새벽부터 빵을 만들어서 돈을 받고 빵을 팝니다. 그런데 빵을 사가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을 해보면 제과점 사장이 내게 필요한 빵을 주고 나는 받습니다. 제과점 사장은 나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서 열심히 빵을 만들어서 제공합니다. 고객센터 상담원은 어떻습니까? 사람들이 불만사항을 이야기하면 다 들어줍니다.이렇게 보면 직업이라는 것은 내가 아니고 남을 위해서 봉사하는 겁니다. 모든 직업이 그렇습니다. 직업이라고 하는 것은 동전의 양면입니다. 남을 위한 봉사의 측면과 내가 돈을 갖게 되는 생계의 측면이 함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직업을 선택할 때 ‘내가 뭘 하고 싶은가’를 생각합니다. 내가 뭘 해야 남들이 나를 대단한 사람으로 생각할까. 그런데 직업이라고 하는 것은 봉사의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마트 계산대에서 누군가가 하루종일 계산을 해주지 않으면 우리는 마트에서 물건을 가지고 나갈 수가 없습니다. 누군가는 그 지겨운 일을 해야만 합니다. 새벽부터 청소부가 거리를 청소하지 않으면 이 도시는 며칠 만에 금방 쓰레기 천지가 되어버립니다.

그러나 그 일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것과 내가 뭘 원하는가는 사실 다른 문제입니다. 청소가 세상에서 제일 하고 싶고 꼭두새벽에 일어나서 취객들이 토해낸 토사물을 치우고 싶어! 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마트에서 계산하는 것이 정말 내가 원하는 일이고 적성에 맞는 일이야 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이 세상에는 본인이 원하고 원치 않고를 떠나 사회를 유지하려면 해야만 하는 일들이 아주 많습니다.

우리는 직업을 생각할 때 내가 원하는 것보다 무엇이 내 적성에 맞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내 적성이 꼼꼼하게 정리정돈하고 챙기는 것에 맞는지, 아니면 몸을 움직이는 것이 맞는지를 본인이 잘 알아야한다는 겁니다.

청춘, 열정과 지혜의 불균형

두 번째, 청춘과 노년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신이라는 존재는 퍽 공평해서 젊은 사람들한테는 넘치는 힘을 선물하는 대신에 지혜는 주지 않았습니다. 반면 나이가 많아지면 몸의 기운은 빠져가는 대신 젊은 사람에 비해서 더 풍부하고 깊은 지혜를 가지게 됩니다.

젊은 사람들은 넘치는 게 힘인데 그것을 어떻게 써야할지를 모릅니다. 예를 들어 저기 산이 있다고 했을 때 노년의 경우 산 높이가 얼마인지, 최적의 코스는 어디인지를 찾아보고 나섭니다. 반면 젊은 친구들은 일단 가고 봅니다. 이 봉우리 저 봉우리 막 헤매고 봅니다. 겨우 어찌어찌 산에 가기는 합니다만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다 소비하고 갑니다.

젊은 친구들은 넘치는 게 힘이고 그 힘을 주체할 줄 모릅니다. 그래서 서두에 말씀드린 이십대 친구 같은 경우는 자기 안에 넘치는 열정과 에너지를 발산하고 싶은데 어떻게 써야할 줄을 모릅니다. 이 친구들은 자기 안에 있는 열정과 정열, 뭔가 하고자 하는 의욕 같은 것들을 꼭 직업이나 일자리를 통해서 풀려고 합니다. 그런데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앞서 말했듯 직업은 자아실현보다는 봉사의 측면이 있습니다. 나의 넘치는 열정을 직업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각도의 활동에 쏟아내다 보면 인생의 후반기에 쓸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직업은 인생의 일부일 뿐.

젊었을 때 하던 일을 지금도 변함없이 하고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나이 오십대 후반이 되면 내 의지와 무관하게 이 사회에서 하던 일을 놓고 물러나야합니다. 회계사 사무실에서 일하는 이 젊은 친구가 언제까지 회계사 사무실에서 일할 것 같습니까? 길어야 사십대 중반 혹은 오십대 초반까지일 것입니다. 그 사이에 굳이 직장과 관계된 돈 버는 일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다보면 적성에 맞는 무언가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찾은 무언가로 하여금 노년의 제2의 인생을 정비할 수 있는 겁니다.

제2의 인생은 50대 중반부터 따져도 약 30년 이상입니다. 그 세월을 젊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세계에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런 삶을 젊었을 때부터 준비해야 하는데, 그것은 직업이 아닌 다양한 방면의 사회 활동과 봉사로 이루어가야 합니다. 어느 분야든 좋습니다. 넘치는 힘을 쏟아 다양한 경험을 쌓는 좋은 방법은 봉사하는 것입니다. 그런 이야기를 젊은 친구들에게 했습니다.

‘나홀로삶’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삼십대 초반의 젊은 친구와 대화할 일이 있었습니다. 그 친구가 몇 달 전에 공무원으로 취직을 했습니다.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보다 더 힘든 경쟁을 거쳐서 공무원이 됐는데 불과 다섯 달만에 직장을 그만둔다고 합니다.

남들은 못 들어가서 안달인 공무원을 너는 왜 때려치우려 하느냐 묻자 본인은 공무원 체질이 아니라고 합니다. 다섯 달 해보니까 나와는 맞지 않다고 합니다. 기계 부속품처럼 사는 건 싫다고 합니다.

그 친구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생은 이렇게 살아도 후회하고 저렇게 살아도 후회하더라. 네가 그만두고 싶다면 그만 둬라. 그만두는 것도 후회하는 것도 네 자유다.

그런데 그 친구의 이야기를 듣고 제가 느낀 게 한 가지가 있습니다. 요즘 사람들은 뭐든지 혼자서 다 합니다. 밥도 혼자서 먹고 혼자 영화 보고 혼자 쇼핑하고 혼자 지냅니다. 그렇게 하다보니까 뭐든 자기 혼자 다 한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그게 아니라는 겁니다. 내가 입고 있는 옷은 절대로 내가 혼자 만든 게 아닙니다. 누군가가 나를 위해서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준겁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어느 것 하나 내가 직접 혼자서 만든 것은 없습니다. 나 혼자 아무리 잘나봐야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나도 모르는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나를 위해서 일을 해주니까 혼자서 밥도 먹을 수 있고 혼자서 영화도 쇼핑도 운전도 여행도 할 수 있습니다. 이점을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 친구가 자기이 조직의 부속품처럼 느껴진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내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 덕분에 살고 있는가 하는 것을 까먹고 있는 겁니다.

개개인은 바다 위에 흩뿌려진 섬처럼 고립되어 있다는 착각

‘직업’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연결고리

내가 어떤 일을 직업으로 삼아 하고 있는 것은 내가 그 일을 하고 싶어서 하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숱하게 많은 사람들이 역시 누구인지도 모를 나를 위해 이런 저런 일을 하듯, 나 역시 누구인지도 모를 사람들을 위해 지금의 일을 하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익명의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사회 속에서 보이지 않게 촘촘하게 서로 서로 연결되어서 서로 돕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다만 각자의 일상에서 그런 연결망이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그것은 마치 물고기에게 바다처럼 자연스러운 것이라 우리들은 그것을 잊고 살아갑니다. 그래서 이 복잡한 사회 속에서 내가 혼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 세상을 나 혼자 살아간다고 생각하다보면 남의 도움없이 혼자서 살아가는 자신이 당연하다고 생각 됩니다. 누구나 가지는 생각입니다. 이런 생각이 내 마음을 가리고 있으면 될 일도 안 됩니다. 그게 중생들의 일이고 인생입니다. 물론 실제로 적성에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은 조직 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나홀로의 삶에 익숙하다 보면 함께 꾸려가는 삶에 쉬 적응하지 못합니다. 그럴 때면 사회라는 이 드넓은 바다에서 나홀로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우리들은 보이지 않게 서로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서 서로 돕고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떠올려야 합니다.

내 문제는 내가 노력하면 고칠 수 있습니다. 조직의 문제는 함께 노력해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우선 내 문제를 고치려고 노력하고 그래도 문제가 있다면 함께 노력해서 조직의 문제를 고쳐나가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일’에 대해서, ‘직업’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Previous

지심귀명례

부적은 희망이다

Next

Leave a Comment